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이기환

역사 스토리텔러

경주에 가보면 엄청난 규모의 무덤이 한복판에 늘어서 있습니다. 그 가운데 일반에 공개된 무덤이 바로 천마총입니다.

원래는 황남동 155호 고분이었다가 1973년 발굴 이후 천마총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무덤에서는 해방 이후 처음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금관이 발굴됐습니다. 그렇다면 국보 중의 국보인 금관과 관련된 이름이 붙어야 했습니다. 그런데 왜 천마총이라는 이름이 붙었을까요. 바로 상상의 동물인 천마가 그려진 말다래가 3벌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듣기

그 중 자작나무 껍질에 그린 1벌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그림 속에서 후다닥 튀어나와 하늘로 훌쩍 날 것 같은 생생한 천마그림이었습니다. 1500년전 신라인들의 빼어난 회화작품이었습니다. 그러니 천마총의 대접을 받은 것입니다. 당연히 국보(207호)가 되었지요.

그런데 발굴 30년 여 년이 지난 2000년 무렵부터 다른 주장이 나옵니다. 그림이 천마가 아닌 기린이라는 겁니다. 기린? 우리가 아는 아프리카 기린이 아닙니다. 성인의 치세에 나타난다는 바로 그 상상의 동물입니다. 기린은 바로 공자를 상징하는 성스러운 동물이기도 합니다. 이후부터 천마냐 기린이냐,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논쟁이 벌어집니다. 2009년엔 국보 천마도의 천마 위에 뿔 형상이 보인다면서 이것은 전형적인 기린의 모습이라는 주장이 더욱 설득력을 얻게 됐습니다. 그런가하면 2013년인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다른 말다래(1971년 발굴한 3벌 가운데 다른 한 벌)를 복원해본 결과 갈기 형성이 뚜렷한 천마가 보였다는 새로운 주장이 나왔습니다. 따라서 천마가 확실하다는 것이지요. 과연 어떤 주장이 맞을까요.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팟캐스트 116회는 ‘천마총인가, 기린총인가, 그것이 문제로다’입니다.

이런 기사 어떠세요?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