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산책

아홉 번 꺾여도 살아나는 ‘고사리’

엄민용 <당신은 우리말을 모른다> 저자

제철을 맞은 봄나물이 쏟아지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산나물축제도 열린다. 그야말로 ‘나물의 계절’이다.

나물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뭇잎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을 가리키는 ‘남새’와는 의미가 다르다. “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만을 일컫는 ‘푸새’와도 구분해 써야 한다.

나물 가운데 봄을 대표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고사리’다. 고사리의 어원은 다양한데, 끈질긴 생명력을 엿보게 하는 ‘구살이’가 변한 말이라는 설도 있다. 고사리는 꺾인 자리에서 새순이 다시 돋는다. 그렇게 아홉 번을 꺾여도 살아나는 강인함으로 우리 조상들의 주린 배를 채워줬다.

이런 고사리를 먹는 우리의 모습을 보고 서양인들은 기겁한다는 얘기가 있다. 목축을 하다 보면 소나 양 같은 가축이 들판의 고사리를 뜯어 먹고 탈이 나는 상황을 흔히 접하기 때문이다. 심하면 가축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한다. 그만큼 고사리의 독성은 강하다. 그런 고사리를 식탁에 반찬으로 올리거나 밥에 넣고 쓱쓱 비벼 먹는 한국인의 모습은 서양인들의 가슴을 철렁케 할 만하다. 그러나 고사리는 삶아 말리면 독성이 사라진다. 독성을 없앤 고사리는 약재가 되기도 한다.

봄을 대표하는 또 다른 나물 ‘두릅’도 독성이 있다. 밥에 곁들여 몇개 생으로 먹는 것은 괜찮지만 독성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많이 먹으면 복통, 구토, 어지럼증 등을 일으킨다. 하지만 두릅 역시 살짝 익혀 찬물에 담가 두기만 해도 독성이 제거된다. ‘산채의 제왕’으로 불리는 두릅 중에서 두릅나무에서 나는 것을 ‘참두릅’, 엄나무의 새순으로 쌉쌀한 맛과 향이 강한 것을 ‘개두릅’, 여러해살이풀인 독활의 새순을 ‘땅두릅’으로 구분한다. 두릅은 <동의보감>에 언급돼 있을 정도로 약 성분이 뛰어난 먹거리다.

이 밖에 원추리와 아주까리의 어린잎도 나물이 되며, 이들 역시 독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살짝 데친 후 찬물에 담가 두면 독성이 없어진다. 이는 우리 조상들이 오래전에 깨친 삶의 지혜다.


Today`s HOT
브라질 홍수로 떠다니는 가스 실린더 이스라엘 건국 76주년 기념행사 멕시코-미국 국경에서 관측된 오로라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