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0년 총인구 3766만명으로 준다

윤지원 기자

2020~2070 장래인구추계

2070년 총인구 3766만명으로 준다

올해 9만명 ↓ ‘인구절벽’ 시작

코로나19로 외국인 유입이 줄면서 올해 처음으로 총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인구가 감소하는 이른바 ‘인구 절벽’은 예상보다 8년 빠른 올해부터 본격화된다. 2070년에는 한국 인구수가 3700만명대로 쪼그라들 것으로도 예상됐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2070년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지난해 5184만명을 기록했던 국내 총인구수는 올해 9만명이 줄어든 5175만명에 그친다. 국내 거주 외국인을 모두 더한 총인구수가 전년 대비 감소하기는 올해가 처음이다.

앞서 통계청은 인구 정점을 2028년으로 내다봤는데 외국인 유입이 막힌 코로나19 사태로 인구 정점 시점이 2020년으로 8년 앞당겨진 것이다.

전체적으로 인구수가 크게 줄어드는 것은 출생아가 적은 데 비해 사망자는 2020년 31만명에서 2070년 70만명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출생아에서 사망자를 뺀 인구 자연감소 규모도 지난해 -3만명에서 2070년 -51만명으로 확대된다. 외국인 인구가 유입되더라도 이 같은 감소세를 막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국제이동에 의한 인구 유입 규모가 코로나19 시기(2020~2021년) 6만명 감소에서 2022년 1만명으로 플러스 전환된 뒤 2070년 4만명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5000만명’대 인구수는 2045년(4903만명) 막을 내린다. 2070년엔 3766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내용은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와 출생, 사망 및 국제이동 추세의 중위값을 조합해 예측한 시나리오다.

중위 추계로 연령별 인구를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지난해 72.1%(3738만명)에서 2070년 46.1%(1737만명)까지 떨어진다. 반대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지난해 15.7%(815만명)에서 2070년 46.4%(1747만명)로 늘어난다. 70세 이상 인구만 39.5%로, 2070년 인구 10명 중 4명이 70대 이상 고령층이 된다. 전체 인구를 연령 순서로 나열할 때 한가운데 있게 되는 중위 연령은 지난해 43.7세에서 2031년 50.4세로 50세를 돌파한 뒤 2070년 62.2세로 높아진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인구는 2020년 39명에서 2070년 117명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일하는 15~64세 인구 1명이 고령인구 1~2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국의 2070년 총부양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고 2위인 그리스(91명)와의 격차도 크다.

이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번 결과는 코로나 위기 등 단기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 측면이 있다”며 “향후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면 외국인 국내 유입, 혼인·출산이 정상화하면서 인구 변화 흐름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적었다.


Today`s HOT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불타는 해리포터 성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