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불안·분노가 신체통증 악화

김태훈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과 연구팀 분석

뇌 DMN영역·신체증상 연관성 확인

몸에서 통증을 느끼지만 병원에서는 별다른 이상을 찾기 어렵다고 할 경우 ‘신체증상장애’일 수 있다. 이 질환이 있으면 특히 불안과 분노가 환자의 통증을 더 심각하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혜연 교수 연구팀은 신체 감각이나 자극, 감정, 스트레스를 처리하고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뇌의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 영역과 신체증상장애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뇌, 행동, 면역’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신체증상장애 환자 74명과 건강한 대조군 45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과 혈액검사, 임상증상점수(신체증상, 우울, 불안, 분노, 감정표현 장애) 등의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신체증상장애는 뚜렷한 원인 없이 통증, 피로감, 소화불량, 어지럼증 등 신체적인 증상이 지속되는 질환이다. 이런 증상 때문에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받지만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에서는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환자가 느끼기엔 신체증상이 뚜렷하므로 내과, 신경과 등 관련 있어 보이는 진료과만 찾고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는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진은 멍한 상태이거나 명상에 빠졌을 때 활발해지는 뇌의 DMN 영역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신체증상장애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폈다. 연구 결과, 신체증상장애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더 심각한 신체증상과 기분증상(우울·불안·분노)을 보였으며 일부 DMN에서 연결성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안과 분노가 신체증상과 DMN의 기능적 연결성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불안하거나 화가 날 때 복통이나 어지럼증 같은 신체증상을 더 심하게 경험하는 것이다.

이런 결과가 나온 이유는 나빠진 기분이 통증 같은 감각을 제대로 인식하고 처리하는 DMN의 기능을 떨어뜨려 왜곡된 감각을 느끼게 했기 때문으로 해석됐다. 예를 들어 분노는 위액을 분비하는 기능과 내장에서 감지하는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쪽으로 신체증상을 증폭시켜 기능적 위장장애나 복통을 심화시키는 것이다.

연구진은 기분이 뇌의 기능에 작용하는 매개 역할을 한 결과 신체증상에도 영향을 준다는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박혜연 교수는 “불안이나 분노 등 기분증상이 동반된 신체증상장애 환자에게는 기분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신체증상을 완화할 수 있음이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며 “DMN이 신체증상장애에 주요한 허브임을 확인하였으므로 관련된 인지행동치료나 신경자극치료 등을 적극적으로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