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서울 중장년층, 나이 많고 소득 낮을수록 근로시간 줄었다

김보미 기자

서울에 사는 중장년층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나이가 많고 소득이 낮을수록 근로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시간이 줄어든 경험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만 45~69세 서울 거주자 3036명 대상으로 2021년 1~10월까지 상황을 조사한 ‘서울시 50+세대 실태조사 보고서’를 27일 발표했다. 코로나 시대를 맞아 달라진 일상을 연구하기 위해 시작된 이번 조사에서 서울의 40~60대가 겪은 사회적·정신적 변화가 확인됐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경향신문 자료사진

특히 60세 이상은 절반 이상(55%)이 일하는 시간이 줄었다고 답했다. 만 45~49세(28.8%)에 비하면 근로시간 단축 경험 비율이 2배 가까이 된다. 이는 연령에 따른 고용 방식 차이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60세 전후로 퇴직을 맞으면서 정규직 비율이 65~69세는 7.1%에 그친다. 45~49세(60.7%)와 크게 대비되는 수치다. 일거리가 감소한 경우는 월 200만원 미만 버는 집단(60.7%)이 대부분으로 월 700만원 이상(26%)의 고소득층과 격차가 컸다. 여성(46.3%)이 남성(39.8%)보다 근로시간 단축을 많이 겪었다.

출처 | 서울시 50+세대 실태조사 보고서

출처 | 서울시 50+세대 실태조사 보고서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 등으로 응답자 중 53.6%는 신체활동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고립감(53.9%)이나 우울감(50.7%)을 겪었다는 답도 절반을 넘었다. 여가(54.2%)와 사회참여(41.5%)는 물론 일하면서(32%) 사람들을 만나는 활동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다. 건강이 악화된 경우 그 원인으로 ‘감염병에 대한 불안감’(37.6%)을 뽑은 사람들이 가장 많아 코로나19가 심리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인 불안감은 경제활동이 제한되면서 수입이 줄어든 것과도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반면 비대면 활동은 늘어 응답자 가운데 48.6%가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늘었다고 답했다. 코로나 시대 이전에는 온라인이 아니더라도 오프라인에서 해결할 수 있었던 정보 검색(82.8%)이나 금융서비스(81.8%)를 스마트폰 등으로 할 수 있도록 역량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도 높게 나타났다. 메신저(82.2%) 활용도를 높이려는 의지도 강했다.

출처 | 서울시 50+세대 실태조사 보고서

출처 | 서울시 50+세대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에 사는 중장년층은 소득 보장(23.9%) 정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꼽았다. 또 노후 설계 지원(21.9%)이나 정년 기준 연장(14.8%) 등이 뒤를 이어 일자리나 노후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나타났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 황윤주 정책연구센터장은 “중장년층도 연령, 소득, 코로나19에 따른 영향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필요한 정책과 수준이 다르다”며 “나이와 관심사 변화에 따른 지원 방향을 설정하고 퇴직 전후 노후 준비 교육 역시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