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1인 가구 고립·외로움 심각…학교·지역 결합한 통합적 방향 필요”

김태훈 기자

③ ‘이렇게’ 말해줘 ‘이런 게’ 필요해

정신건강 전문가들 말하는 ‘대책’

1020세대의 정신건강 위기는 시대적 징후다. 전문가들은 “돌파구를 찾기 힘든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증폭되면서 정신건강 영역에 후유증을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한다.

정부는 지난 5일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을 발표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인 국내 자살률을 10년 이내에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심리상담 지원 대상을 100만명까지 늘리고, 청년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2년으로 단축하기로 했다.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정책의 방향성에는 대체로 동의하면서도 거시적인 대책이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20대 청년을 위한 정신건강 대책은 더 입체적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급증하는 1인 가구와 고립·외로움의 문제를 정신건강과 아울러 짚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백명재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이들의 가족 면담을 통해 심리부검을 해보면 죽음을 결정하기까지 정신건강과 경제적 문제, 가족관계 등 평균적으로 3~4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며 “특히 고립의 문제는 자살 위험 증가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대다수 10대 청소년을 위한 정책 역시 교육현장이나 지역사회와 결합한 통합적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기선완 가톨릭관동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기존의 가족 공동체가 몰락해 위기에 놓인 청소년들이 늘지만 아직 시민사회가 이들을 돌볼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며 “정신건강정책에서 앞선 나라들을 보면 그냥 약만 주는 단순한 의학적 접근 대신 학교와 지역사회에서의 문화·스포츠 활동 등과 결합해 지원하는 종합적인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1020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인터넷 커뮤니티 등 온라인 공간 활용도가 높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치며 의존에 가까운 생활 양상을 보이는 청년·청소년도 늘었다. 이런 실태를 고려해 인터넷 미디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대응책 또한 필요하다.

이해국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게임·콘텐츠·미디어 분야의 산업이 1020세대의 정신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어도 산업 차원의 저항 탓에 적시에 규제하기 어려운 현실을 꼬집었다. 이 교수는 “게임·SNS 같은 산업은 그 영역에서 이익을 얻는 사람들이 있어서 자신들이 제공하는 콘텐츠에 더 많은 사람이 빠져들도록 움직이려는 유인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과도한 의존으로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입는 젊은층이 있어도 해당 산업을 섣불리 통제할 수 없는데, 이 지점에 대한 정부의 고민과 검토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