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 폭염 탓에 하천온도 3.1도 상승했다···"물고기 집단폐사도"

류인하 기자
어류 집단폐사가 발생한 구로구 목감천(왼쪽)과 송파구 장지천(오른쪽). 보건환경연구원 제공

어류 집단폐사가 발생한 구로구 목감천(왼쪽)과 송파구 장지천(오른쪽). 보건환경연구원 제공

올해 서울지역 하천의 평균 최고 수온이 예년보다 최고 3.1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록적인 폭염의 영향이 컸다. 수온상승은 어류 집단폐사로 이어질 수 있다.

서울보건환경연구원은 1994~2020년 평균 대비 서울 한강 본류의 평균 수온이 2.2~2.3도 높아졌으며, 지천은 2.2~2.8도 상승했다고 5일 밝혔다.

수온 상승 추세는 평균 최고 수온에서 두드러졌다. 올해 한강(노량진)의 최고 수온은 26.7도로 예년(24.1도)에 비해 2.6도 상승했다. 안양천은 평균 최고 수온이 31.2도로 예년(28.1도)보다 3.1도 상승했다. 평균 최고 수온 31.2도를 기록한 안양천은 폭염이 극심했던 1994년(32.6도) 이후 가장 높은 수온을 기록했다. 최악의 폭염으로 기록된 2018년 7월 평균 최고 수온 30.2도보다도 1도 높은 수치다.

한강 본류보다 지천의 수온 상승폭이 더 큰 이유는 지천은 한강에 비해 수심이 얕고 유량이 적어 기온변화에 훨씬 민감하기 때문이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유량이 매우 적은 소하천이나 정체구간의 경우 기온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수온상승은 환경변화에 민감한 소하천의 생태 건강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원은 실제 최근 폭염기간 동안 서울 소하천에서 발생했던 물고기 떼죽음 사고 2건이 급격한 수온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달 15일 구로구 목감천에는 잉어 등 어류 30마리가 폐사했으며, 송파구 장지천은 지난달 24일 붕어 등 400마리 어류가 폐사했다. 목감천과 장지천의 당시 수온은 각각 32.5도, 31.8도를 기록했다. 목감천과 장지천은 모두 수심이 깊지 않은 도심 소하천으로, 수온상승과 같은 급격한 수생태계 변화에 어류가 대응하기 어려운 점이 집단폐사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원은 “수온이 높아지면 조류나 미생물, 어류 등과 같은 생물의 물질대사와 호흡률이 빨라지고 산소 용해도는 감소하는 등 수온과 하천생태계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사례에 따르면 잉어가 견딜 수 있는 최고 수온은 32도 정도다.

신용승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이 하천 생태계까지 위협할 수 있다”면서 “연구원은 앞으로 여름철 폭염의 영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수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연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해리슨 튤립 축제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불타는 해리포터 성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