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감축 손놓은 인도·중국…유엔기후변화 총회 ‘먹구름’

박하얀 기자

배출량 1위 중국·3위 인도

오는 31일 회의 열리는데

인도는 감축목표 제출 않고

중, 석탄생산 중단 시점 침묵

오는 31일 영국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국제사회의 이목은 중국과 인도에 집중됐다. 주요 탄소 배출국인 이 두 나라가 내놓을 온실가스 감축 계획은 이번 회의의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대는 실망으로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세계 3위(전체 배출량의 7%)의 탄소 배출국인 인도는 선진국 책임론을 강조하며 아예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내놓지 않았다. 중국 역시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면서도 석탄 생산 중단 시점을 명시하지 않는 등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인도 환경부는 27일 기자회견을 열고 탄소중립 달성 시기를 설정하는 것은 기후변화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고 AFP통신이 28일 보도했다. 부펜데르 야다브 인도 환경부 장관은 회견에서 “인도가 개발도상국의 목소리를 대신해 ‘기후 정의’를 위한 투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 고위 관리인 R P 굽타도 “(대기 중에) 축적된 배출 가스가 기후변화의 원인”이라며 “가난한 국가를 위한 재정 없이 자국의 비용만으로 녹색개발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인도의 연간 탄소 배출량은 7억1400만t으로 중국(28%·27억7700만t), 미국(15%·14억4200만t)에 이은 대표적인 탄소 배출국이다. 급속한 인구 증가와 에너지 수요의 절반가량을 석탄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가 배경으로 지목된다.

인도는 역사적 책임론을 꺼내들며 선진국을 겨누고 있다. 과거 산업화로 이익을 본 유럽과 북미 국가들이 온실가스 배출에 더 큰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들 국가가 기후위기 대응에 가장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도 정부는 국가의 경제 성장을 반영하는 탄소집약도(국내총생산 대비 탄소배출량) 목표가 보다 공정한 기준이라며 2030년까지 집약도를 2005년 대비 33~35% 줄이는 목표를 설정했다. 하지만 이를 두고도 회의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2022년까지 175GW(기가와트)로 5배 늘리겠다고 약속한 재생가능 에너지원의 발전 용량은 지난 9월 기준 100GW를 약간 넘는 데 그쳤다.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실질적인 조치가 없어 사실상 의미가 없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중국 중앙정부인 국무원은 지난 26일 홈페이지를 통해 비화석 에너지 사용 비중을 2025년 ‘20% 안팎’으로 맞춘 뒤 2030년 ‘25% 안팎’으로 끌어올리겠다는 ‘2030년 전 탄소 정점 달성 행동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중국은 전체 발전량의 절반 이상을 의존하고 있는 석탄 생산 중단 시점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중국이 10년 만에 최악의 전력난에 직면한 만큼 기후 관련 목표는 후순위로 밀려날 것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석탄은 중국경제 전체가 사용하는 에너지원의 56%”라며 “중국이 지구 전체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는 과학자들의 견해는 바로 석탄 사용량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