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7년 해고자’ 김진숙의 복직, 사필귀정이다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지도위원이 37년 만에 복직된다. 금속노조와 HJ중공업(옛 한진중공업)이 23일 해고노동자 김 지도위원의 명예복직과 퇴직에 합의했다. 해묵은 갈등을 대승적으로 풀어낸 노사 양측의 결정을 환영하며, 줄기차게 투쟁해온 김 위원에게 축하를 보낸다.

김 위원은 5공 당시 대한조선공사에 입사, 노조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대공분실에 끌려갔다가 무단결근 등의 이유로 해고됐다. 1987년 부당해고 소송을 냈지만 법원은 사측의 손을 들어줬다.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가 두 차례 부당 해고를 인정하고 복직을 권고했지만 회사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후 김 위원의 복직 노력은 노동계와 경제계의 자존심이 걸린 상징적 사안이 됐다. 2년 전 복직투쟁 당시 김 위원이 ‘나의 복직은 시대의 복직’이라고 강조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HJ중공업은 새 출발을 하는 마당에 오래된 갈등 현안을 풀고 가는 게 낫다는 판단에 따라 김 위원을 복직시키기로 한 것으로 노동계는 해석한다. 한진중공업은 과거 박창수·김주익·곽재규 등 노동자들이 의문사로 사망하거나 노조 탄압에 맞서다 극단적 선택을 한 노동 흑역사의 현장이다. 김 위원은 2011년 한진중공업 정리해고에 반대해 309일간 크레인 고공 농성을 했고 이때 희망버스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김 위원은 경향신문 인터뷰에서, 박창수씨 등 먼저 떠난 노동자들을 언급하며 “복직을 하면 먼저 하고 싶었던 게 이들이 일하던 공장을 가보고 싶었다. 저라도 공장에 들어가서 보고 싶었다”고 했다.

사측이 부당 해고를 인정하고 복직을 허용한 것은 당연하다. 그 당연한 일을 하는 데 37년이나 걸린 것이 우리 노사의 현실이다. 노동 환경이 개선됐다지만 노조 조직률은 아직도 15%를 넘지 못한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여전히 차별에 시달리고 있다. 김용균법(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과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산업재해 사망자는 끊이지 않는다. 이번 대선에서도 경제 성장을 약속하는 목소리에 노동 공약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김 위원의 명예복직·퇴직 행사가 25일 영도조선소에서 열린다. 노사 갈등으로 얼룩진 이곳이 노사 화합의 상징적 장소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김 위원이 겪은 노동자의 아픔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 김 위원의 복직은 노동존중 사회로 한 단계 올라서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바로가기: [인터랙티브] 김진숙을 만나다


Today`s HOT
러시아 공습, 지하철로 대피한 우크라이나 시민들 프란치스코 교황과 팔레스타인 대통령의 만남 미국의 상점과 재단이 협력한 자원봉사 스페인 왕실의 이탈리아 방문
시리아의 정권 붕괴 이후 이스라엘의 계속되는 공습 철권정치의 끝, 본국으로 돌아가는 시리아 난민들
인도 원주민 문화의 전통이 보이는 혼빌 페스티벌 영국 정부의 토지 상속세 규정에 반대하는 농부들
아티스트들이 선보인 SF 테마 디스플레이 과달루페 성모 축일 축제를 준비하는 순례자들 2034년 월드컵 개최 장소 사우디아라비아, 전시회를 열다. 자원봉사단 후원자 카밀라 여왕이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모임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