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기·가스·수도 20% 껑충 ‘역대 최대’

반기웅 기자

농수산물 등 장바구니 물가도 고공행진

올해도 고물가 부담이 서민들의 생활을 어렵게 했다.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6% 올라 지난해(5.1%)에 이어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전기·가스·수도 물가가 역대 최대폭으로 뛰어 물가를 끌어올렸고, 농산물 등 먹거리도 비싸지면서 장바구니 부담을 키웠다. 이달 물가도 3.2% 올라 5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상승률인 5.1%보다는 1.5%포인트 내려왔지만 한국은행의 물가목표 안정치(2.0%)를 여전히 크게 웃돌았다.

연간 물가상승률은 2019년(0.4%)과 2020년(0.5%) 2년 연속 0%대에 머물다가 2021년 2.5%로 오른 뒤 지난해 5.1%까지 치솟았다.

올해는 공공요금이 물가오름세를 주도했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연간 20.0% 뛰어올랐는데, 관련 항목을 집계한 2010년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던 지난해(12.6%)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그간 누적된 요금 인상 요인이 반영되면서 전기료가 22.6% 올랐고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가 각각 21.7%, 27.3% 상승률을 기록했다.

먹거리 가격도 물가를 밀어 올렸다. 사과(24.2%)와 귤(19.1%), 딸기(11.1%) 등 과일뿐만 아니라 닭고기(11.8%), 고등어(9.7%), 오징어(12.5%), 파(18.1%) 등 농수산물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신선과실(9.7%) 등이 크게 오르면서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6.8% 뛰었다. 2020년(9.0%) 이후 최고치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가공식품(6.8%) 상승폭이 컸다. 품목별로 보면 빵(9.5%), 우유(9.9%), 커피(12.6%) 등이 크게 올랐다. 보험서비스료(12.9%)를 포함한 개인서비스는 전년에 비해 4.8% 올랐다. 공동주택관리비(5.3%), 구내식당식사비(6.9%), 생선회(6.2%) 가격이 급등했다. 변동성이 큰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하고 기조적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올해 4.0% 올라 지난해(4.1%) 이어 4%대를 기록했다.

12월 물가는 1년 전보다 3.2% 올라 5개월째 3%를 넘는 상승률을 지속했다. 이달 농산물 가격은 전년 대비 15.7% 올랐는데, 2021년 4월(17.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과(54.4%)와 토마토(45.8%), 파(45.6%) 등 과일과 농산물이 장바구니 부담을 키웠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사과와 배는 재배 면적이 감소했고, 일조량 부족 등 기상 여건 악화로 생산량이 많이 줄었다”며 “과실류는 거의 1년 뒤에 나오기 때문에 한두 달 내에 (가격이) 떨어지기 어렵고 당분간 지금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고 가공식품 물가 상승폭도 줄어들었다”며 “근원물가 둔화 흐름을 고려하면 내년에도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나, 겨울철 기상 여건, 수에즈 운하 통행 차질 등 불확실성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Today`s HOT
러시아법 반대 시위 폴란드 대형 쇼핑몰 화재 우크라이나 공습에 일부 붕괴된 아파트 브라질 홍수로 떠다니는 가스 실린더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이스라엘 건국 76주년 기념행사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멕시코-미국 국경에서 관측된 오로라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