③검은 피부 하얀 가면 - 프란츠 파농

김동현 | 문학평론가·제주 민예총 이사장

섬 땅의 할망들을 기억하며

[김동현의 내 인생의 책]③검은 피부 하얀 가면 - 프란츠 파농

프란츠 파농을 처음 접한 것은 김남주 시인이 번역한 <자기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을 읽으면서였다. 대학 시절 헌책방에서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제목만 보고도 손이 갈 수밖에 없었다.

제주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라면 ‘유배’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다. 입도 몇 대손이니 하는 항렬이 자연스럽기도 했지만, 그 무렵 현기영의 <변방에 우짖는 새>를 읽었던 때문이기도 했다. 현기영은 제주 사람들이야말로 “물 위에 뜬 뇌옥(牢獄)에 갇힌” 사람들이라고 했다.

어린 시절 다녔던 초등학교는 표준어 시범학교였다. 학교에서는 사투리를 쓰지 못하게 했다. ‘국민통합에 저해된다’는 게 이유였다. 행여 육지라도 가게 되면 ‘사투리 좀 해보라’는 호기심 어린 시선이 부담스러웠다. 말이 놀림거리가 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육지에 가면 본의 아니게 과묵해졌다. 용케 서울로 진학한 또래 친구들이 제일 먼저 익힌 것도 표준어였다. 우리는 그것을 ‘곤밥(쌀밥) 먹는 소리’라고 놀렸지만, 따지고 보면 표준어의 세계로 도망칠 수 있었던 그들에 대한 동경이기도 했다.

4·3을 알게 되면서 제주는 말을 빼앗긴 땅이라는 사실을 실감했다.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은 존재하지 않는 말이었다.

‘빨갱이’라는 낙인은 이념적 폭력만이 아니었다. ‘말하는 입’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채찍이며, 말의 기억을 빼앗는 약탈이었다.

제주의 말은 고통을 기억하는 제주 사람들의 몸이었다. 어린 시절 외할머니의 치마폭에서 항상 듣던 말이 있다. ‘아이고, 이 설룬 애기야.’(이 말의 질감을 표준어로 옮길 자신이 없다.)

외할머니가 돌아가신 지도 20년이 넘었다. 표준어의 ‘하얀 가면’이 아니라 제주 말의 ‘검은 피부’를 가르쳐준 섬 땅의 모든 할망들을 기억한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