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쏘공’ 조세희 숙환으로 별세···노동자·빈민 문제 통렬하게 고민한 노동문학 대가

김종목 기자
2011년 7월 1일 조세희 작가가 서울 마포아트센터에서 열린 인권센터 창립 기념식에서 강연하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2011년 7월 1일 조세희 작가가 서울 마포아트센터에서 열린 인권센터 창립 기념식에서 강연하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조세희 작가가 25일 숙환으로 별세했다고 이명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문학평론가)가 전했다. 향년 80세.

이 교수는 이날 저녁 기자와 통화하며 “조세희 선생님이 25일 오후 7시쯤 강동 경희대 병원에서 숙환으로 작고하셨다. 빈소는 강동 경희대 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것 같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유족에게서 별세 소식을 확인했다.

2009년 1월 21일 조세희 작가가 서울 용산 참사 현장을 찾았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2009년 1월 21일 조세희 작가가 서울 용산 참사 현장을 찾았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고인은 1942년 8월 20일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에서 태어났다. 보성고,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다녔다. 경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65년 경희대 재학중 ‘돛대 없는 장선’이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되며 등단했다. 이후 소설을 쓰지 않고 오랜 공백기를 가졌던 그는 1978년 산업화로 고통받던 도시 빈민의 삶을 그린 대표작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을 출간했다. 서울 낙원구 행복동 무허가 주택에 사는 ‘난장이’ 가족과 이웃들의 이야기로 도시 빈민 삶을 그린 연작소설집이었다. <난쏘공>은 1970년대 한국사회의 모순을 정면으로 직시하면서도 환상적 기법을 동원해 미학적 가능성을 높인 한국문학사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고인은 이 걸작이 팔리지 않는 시대를 염원했다. <난쏘공> 100쇄를 찍은 1996년 6월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계엄령과 긴급조치의 시대였던 1970년대에 <난쏘공>을 쓴 것은 벼랑 끝에 내몰린 우리 삶에 ‘경고팻말’이라도 세워야겠다는 절박함 때문이었다. 한 작품이 100쇄를 돌파했다는 것은 작가에겐 큰 기쁨이지만 더 이상 <난쏘공>이 필요하지 않은 시대가 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고인이 바라던 시대는 오지 않았다. 책은 2017년 300쇄를 돌파했다. 당시 누적 발행부수는 137만부였다. 이 작품은 2002년 계간 ‘문학인’이 국문과·문예창작과 교수, 문학평론가, 문예지 편집위원 등 문학관계자 1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문학사에서 가장 뛰어난 소설작품’ 조사에서 1위(76표)에 꼽히기도 했다.

작품은 노동자와 빈민, 자본과 재개발·철거, 사회정의 문제를 환기하는 텍스트다. 고인은 줄곧 한국 노동과 계급 문제를 생각했다고 한다. 이 교수는 2020년 겨울 조 작가와 만났다고 한다. “선생님이 그때 계속 걱정하시던 게 (김용균의 죽음 등) 노동자들과 이들이 처한 비극적 상황이었다. ‘가면 갈수록 (사람들이) 노동 문제에 관심을 잃어가는 거 같다. 작가나 평론가들이 깊이 생각하고 많이 발언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조 작가는 2011년 강연에서 “20대들은 절대 희망의 끈을 놓지 말아라. 냉소주의에 빠지면 헤어나지 못한다. 공동의 일, 공동의 숙제를 해낼 수가 없다. 냉소주의는 우리의 적이 제일 좋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난쏘공>을 두고 한국에서 가장 아름답고 탁월한 노동문학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1970년대 이래로 <난쏘공>을 우화적 알레고리로 읽는 경향 때문에 사람들이 소설의 계급성을 잘 모르거나 오해했다. 선생님이 통렬하게 고민한 게 노동자와 도시 빈민, 우리 사회 최하층 약자들에 대한 정의 문제다. 문학사적인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인은 2009년 1월 당시 송경동 시인 등과 함께 용산참사 현장을 찾았다. 그는 “<난쏘공>이 출간된 지 30주년 됐는데, 그 30년 동안 달라진 게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상황은 더 나빠졌습니다”라고 했다. 그는 당시 경향신문과 인터뷰하며 소설 속 낙원구 행복동과 더하면 더했지 나을 것 없는 ‘여전한 현실’에 비통함과 분노를 표했다. .

별세 소식이 알려진 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엔 추모의 글이 이어졌다. 플랫폼C 활동가 홍명교씨는 고인의 용산참사 현장에서 “‘내가 쓰면 이건 학살이다’라고 쓸거야”라고 말한 기사를 링크하며 명복을 빌었다.

‘난쏘공’ 조세희 숙환으로 별세···노동자·빈민 문제 통렬하게 고민한 노동문학 대가

권성우 숙명여대 교수(문학평론가)는 페이스북에 “우리사회와 문단의 큰별이 졌네요. 뭐라고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슬픈 마음입니다. 내일부터 조문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고인의 안식을 마음 깊이 빕니다”라고 썼다. 발인은 28일이다.


Today`s HOT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불타는 해리포터 성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