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재난’ 홍수·태풍·감염병·폭염 순 위험성 크다

김기범 기자

재난안전연구원, 기후위기 다룬 논문 등 분석
최근엔 동시 발생도 늘어

기후위기로 인해 미래에 위험성이 커지는 재난은 홍수, 태풍, 감염병, 폭염 등의 순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7일 ‘미래안전이슈(Future Safety Issue)’ 보고서에서 기후위기 관련 뉴스 32만건과 논문·서적 60여편을 분석한 결과, 위험성이 증가될 미래 재난 및 피해 중 1위는 홍수(18.6%)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다음은 태풍(17.2%), 감염병(16.7%), 폭염(14.9%), 가뭄(11.1%) 등의 순이었다.

홍수에 따른 구체적 피해로는 도심 침수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기반시설 침수, 대규모 정전, 교량 및 도로 파손, 제방 붕괴 등도 언급됐다. 태풍 피해는 기반시설 마비, 저지대 도심 침수 등이 거론됐다.

감염병으로 더 위험해질 피해 유형으로는 코로나19 같은 호흡기 감염병이 꼽혔다. 폭염으로 인한 대표적 피해로는 대규모 초과사망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언급됐다. 가뭄 피해는 식수난 및 용수 부족과 식량난, 곡물가격 폭등 등이었다. 재난안전연구원은 과거 재난이 하나씩 발생했는데 최근에는 동시에 다양한 형태로 일어난다며 예방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기후변화와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7개 분야 32가지 요인을 꼽았다. 7가지 분야에는 국제협력, 제도와 정책, 대중의식, 거버넌스, 사회, 경제, 과학기술 등이 꼽혔다. 주요 요인은 지나친 자국 우선주의, 정책상의 낮은 우선순위, 먼저 행동하지 않는 방관자 효과, 먼 미래의 문제로 치부하는 대중의 의식,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소비행태 등이었다.

재난안전연구원은 기후변화 대책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한 6개 분야 13가지 미래전략 방향도 제시했다. 6개 분야로는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협력 강화를 위한 선도적 역할 수행,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정비 통한 정책 우선순위 및 연계성 강화, 대중이 체감할 수 있는 기후변화 대응 문화 조성, 기후변화 이해관계자 역할의 명확화 및 참여형 거버넌스 구축,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투자 불확실성 최소화 및 경제발전과 온실가스 감축 양립 가능 환경 조성,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기반 마련 등이 꼽혔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150명 중 60%는 미래 기후위기가 부정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돼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가 2.2도 상승한다’(50%)는 것과 ‘저감 없이 온실가스가 배출돼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가 3.7도 이상 상승한다’(10%)는 것이다. 나머지 40%는 긍정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돼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가 1.8도 상승한다’(34%)거나 ‘인간 활동 영향을 지구가 회복해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가 1도 상승한다’(6%)는 것이다.


Today`s HOT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해리슨 튤립 축제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불타는 해리포터 성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