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움은 가치가 아니다

김소영 |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첫애가 첫애일 수 있는 것은 둘째, 셋째처럼 다른 애들이 있기 때문이다. 안 그러면 첫애는 외둥이가 되어버린다. 처음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다음이 있어야 하는 게 사는 이치임에도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평가에서는 종종 이를 망각하는 제도가 설계되고 존속된다. 대표적인 것이 유사·중복연구 방지제도이다. 정부는 국가연구개발과제 수행 시 ‘국가연구개발사업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시스템(NTIS)을 통한 과제 유사성 검토를 의무화하고 있다.

[과학 오디세이]새로움은 가치가 아니다

NTIS 구축사업 경제성 분석에 관한 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유사·중복 과제 방지를 통해 2005~2012년까지 총 630억원을 투입해 약 5409억원 이상의 예산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2013년 감사원에서 2008년부터 5년간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단계별로 분석해 발표한 ‘국가 R&D 감사백서’에서는 기획단계에서 연구개발사업의 유사·중복성 차단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검토하고 있다. 이 백서에 따르면 2013년의 경우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연구개발 예산을 조정하면서 유사·중복 사업군에 대한 소관부처 이관, 통폐합으로 1038억원의 예산을 절감했으나 연구과제 단위로 살펴보면 타 부처와 중복된 과제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한다.

연구개발에서도 유사·중복성이 문제되는 이유는 한정된 자원을 낭비하기 때문이다. 최근 국가 연구개발 예산 증가율은 0%에 가까운데 오랫동안 연평균 10% 증가율을 경험하던 연구개발 수행주체에게 제로 증가율은 사실상 예산 감소로 체감된다. 이런 형편에서 연구개발 예산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반박하기 어렵다.

그런데 연구개발 분야에서 유독 유사·중복에 대한 거부감이 큰 것은 효율성만이 아니라 혁신에 대한 집착에 기인한다. 노벨상도 그렇고 스마트폰도 그렇고 뭐든지 세계 최초로 해야 빛을 발하는 것처럼 여기는 분위기 속에서, 같은 걸 또 하는 것은 토끼와 거북이 경주에서 거북이가 토끼를 따라가는 게 아니라 아예 뒷걸음치는 꼴이니까.

우리말로 ‘혁신’의 뉘앙스는 그야말로 새로움으로 그득하지만 한자어 유래나 영어 표현은 새로움보다 오래됨이 느껴진다. 한자로 첫 글자는 가죽 ‘혁’으로 가죽의 근본은 바뀌지 않는 것이다. 두번째 글자 ‘신’은 매울 ‘신’과 도끼 ‘근’이 합쳐진 것인데, 매울 ‘신’은 옛날 형별로 문신을 새길 때 먹물이 나오는 바늘이다. 그러니까 새로울 ‘신’은 도끼와 바늘로 가죽에 추가적인 문양이나 색깔을 넣어 새롭게 만든다는 뜻이다.

영어로도 이노베이션은 없는 걸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있는 것을 다르게 바꾼다는 의미이다. 해외에서 오래 재직한 모 대학 총장은 한국에 왔더니 혁신을 무슨 혁명처럼 여겨서 강연 때마다 일부러 이노베이션이라는 단어를 쓴다고 한다. 독일의 과학사가 에른스트 페터 피셔는 힐베르트 호텔, 오컴의 면도날 등 과학의 아포리즘에 대한 대중 과학서적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유명하다. 그의 또 다른 대중서 <과학을 배반한 과학>에서는 열역학 제1법칙, 미적분 제1기본정리 등 과학의 법칙 숫자처럼 과학사에도 숫자 법칙이 있다고 한다. 그중 과학사 제0법칙은 아보가드로 상수, 핼리 혜성 등 과학자의 이름을 딴 정리나 발견은 그 과학자에서 처음 유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노벨 과학상도 노벨의 유언에 따르면 원래 세계 최초의 과학적 성과에 주는 것이 아니다. 노벨의 유언은 “그전 해 인류에게 가장 큰 혜택을 가져온” 이들에게 수여하는 것이다. 대부분 노벨상 수상 업적이 되는 최초 연구와 수상 시점이 수십 년 차이가 나는 것은 그 연구가 의미 있는 최초임을 입증하는 데 그만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다시 유사·중복성 문제로 돌아가 보자. 2005~2012년 8년간 정부 연구개발비를 모두 더해보니 약 78조1000억원이 된다. 앞서 NTIS 경제성 보고서에서 추산한 유사·중복 과제 방지로 인한 약 5400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는 동일기간 전체 연구개발비의 0.6%에 불과하다. 한편 e-나라지표에 가장 최근 데이터로 입력된 2014년 기준 상근 상당 연구개발 인력은 43만7000명이다.

수십만 명의 연구자들이 1%도 안되는 예산절감 효과를 위해서 매년 새로운 과제를 만들어내야거나, 장기적 연구를 위해 매년 새로운 포장을 해야 한다면 이야말로 비효율적이지 않은가. 새로움 자체는 가치가 아니다. 지금도 전 세계에서 수많은 과학기술 연구가 새로운 발견과 발명을 낳고 있지만 우리가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은 노벨의 말대로 인류에게 혜택을 가져다주는 ‘좋은’ 연구일 것이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