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샴페인, 문명개화

고영 음식문화연구자

“만일 춘향이라도 그가 현대의 여성이라면 그도 머리를 파마[permanent]로 지질 것이요, 코티[Coty. 프랑스산 화장품]를 바르고 파라솔을 받치고 초콜릿, 아이스크림 같은 것을 먹을 것이다. (중략) 커피를 먹는 생활이 먼저 생기고, 파마식으로 머리를 지지는 생활이 먼저 생기니까 거기에 적응한 말인 ‘커피’ ‘파마’가 생기는 것이다.” 소설가 이태준(1904~?)의 <문장강화> 속 한 대목이다.

고영 음식문화연구자

고영 음식문화연구자

오늘날까지도 널리 읽히는 글쓰기 안내서인 <문장강화>는 1930년대에 집필과 연재가 시작되어 1948년 단행본으로 나왔다. 한 소설가가 태어나 글 쓰고 살아간 내내가, 그야말로 격동의 시대였다. 모든 변화는 급박하기 이를 데 없었다. 그러고 보니 춘향은, 신재효(1812~1884)가 정리한 판소리 대본에서는 유리종에 받은 귤병차(橘餠茶)를 달게 마셔 넘겼다. 봄날 그네 뛰다 목이 마른 이팔청춘의 한 잔이 이랬다. 귤병은 감귤류를 꿀과 설탕에 졸여 만든 화사한 별미이다. 귤병으로 만든 청량음료가 귤병차이다.

신재효의 시대라면 서울과 개항장의 권력자와 부자 사이에서 커피·초콜릿·아이스크림 등이 조금씩 돌아다녔을 뿐이다. 하지만 물꼬가 터지기까지 한 세대로 충분했다. “당당히 양요리루(洋料理樓) 의자에서 가비차(커피)를 압음(狎飮, 즐겨 마시다)하며 삼편주(三鞭酒, 샴페인)를 결파(決破, 들이켜다)하니 문명개화 이 아닌가.” 대한매일신보 1906년 1월10일자에 실린 풍자 가사 ‘피개화(皮開化)’의 한 구절이다. 어느새 커피, 샴페인에 ‘생활’을 가져다 붙일 만한 시대가 왔다. 커피, 샴페인으로 다인 ‘껍데기 개화[皮開化]’꾼, 힙스터 개화 놀이패에게 참개화의 의미를 따져 물어야 할 판이 됐다. 그러더니 다시 한 세대 지나 귤병 동아리의 음료에 또 다른 심상(心象)이 껴든다. “소다수 대신에 화채를, 커피 대신에 수정과, 홍차에 필적할 음료로는 식혜, 보리수단자 등등으로. 이건 참 그럴듯한 착안이어서 다방은 전보다도 더욱 번창하고 풋내기 커피통을 자랑하던 패들도 속속 수정과당으로 전향해오는 격이었다. 건시의 단물에 생강이나 육계의 향료로 풍미를 곁들인 음료는 커피보다 나으면 낫지 못하지 않았다. 화채만 해도 철 따라 단 꿀물에 진달래 화판을 뜨게 하고 혹은 귤 씨를 갈아 넣고 배나 사과 쪽을 넣기도 해서 유리잔에 그득 찬 그것은 소다수쯤의 풍류가 아니었다. 식혜나 수단자도 마찬가지였다.”(원문은 일본어. 이호철 번역) 1세대 커피 애호가 이효석(1907~1942)이 1930년대 말 쓴 것으로 보이는 소설 <소복과 청자>의 한 대목이다. 커피를 즐기던 조선의 힙스터들에게 수정과·식혜·보리수단(자)·화채 등속이 이국취미로 돌아오기도 했다는 말이다. 이런 엎치락뒤치락은 늘 있던 일이다.

지금 한국인에게는 어떤 흐뭇하고 수더분한 음료가 있는가. 개화꾼 행세, 힙스터 놀이, 이국취미로 쥐어짠 음료 말고 무엇이 당대에 고전적인 음료가 될 수 있을까. 커피에서 화채에 이르는 사물에 자연스러운 당대의 ‘한국’이 깃들기 바란다. ‘생활’이 깃들기 바란다. 한국형 여름을 앞둔 한국인 아무개의 작은 바람이다.


Today`s HOT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불타는 해리포터 성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