④ 2030 투표율 낮지만 이슈 따라 유연성 발휘…선거 승패 좌우

한수빈 기자

애증의 2030세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지난 10일 서울 영등포동 제5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역대 최장인 비례대표 투표용지를 바라보고 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지난 10일 서울 영등포동 제5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역대 최장인 비례대표 투표용지를 바라보고 있다.

‘반드시 투표’ 응답률 최저
무당층 비율도 역대 최대치
전 세계 2030세대서 나타나

일각 탄핵·세월호 세대 규정
정치 참여 효능감 이미 인식
무관심 표현 ‘부당’ 반론도

주거안정·노동불안·과밀화
관심 의제 있다면 표심 표출
유권자 듣고 싶은 정치 필요

정치 무관심층, 무당층, 중도층…. 선거를 앞둔 시기마다 정치권과 언론이 2030세대를 두고 하는 말들이다.

이들의 표심 분석은 엇갈린다. ‘스윙보터’이니 적극 구애해야 한다는 진단 한편에 정치권에선 ‘뭘 원하는지 모르겠다’는 토로가 이어진다. 청년 정책이니 청년 공천이니 구호는 많지만 2030 투표가 그 때문에 크게 늘었단 증거는 찾기 어렵다. “청년 정책 실종” 등 헤드라인이 붙을 때에도 그로 인해 청년층의 정치 무관심이 커지는지, 지지 정당을 바꾸는지 알지 못한다. 경향신문은 지난 25~26일 정치학자·평론가에게 2030 정치 행태와 정치권 대응을 물어봤다.

2030 투표율이 타 연령 대비 낮다는 정황은 데이터로 확인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대의 4·10 총선 사전투표율은 12.9%, 30대는 11.3%로 50대 22.5%, 60대 22.7% 대비 10%포인트 이상 낮았다. 2030은 선거 전 선관위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진행한 유권자 2차 의식 조사에서도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항목에 전 연령대 중 가장 적게 응답한 인구집단이었다(각각 50.3%와 68.8%).

이들의 무당층 비율이 높다는 분석 역시 확인 가능한 지표가 많다. 총선 1년을 앞두고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2030 중 지지 정당이 없다거나 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한때 54%로 역대 최대치를 보였고, 투표 1개월 전까지도 3분의 1 수준을 오갔다. 이번 총선 비례대표 정당 지지도 출구조사 결과에서도 2030에선 특정 진영의 압도적 우세가 보이지 않았다.

2030의 낮은 투표율은 정치 무관심의 결과일까.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그렇다”고 답했다. “2030세대는 전 세계 어느 나라에서든 정치 무관심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그는 특정 정당 충성도가 낮은 데다 이슈마다 개인 입장이 달라 정치적 쏠림 현상이 나타나기 어렵다며 2030의 스윙보터 경향도 무관심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이강윤 정치평론가는 “투표를 안 하는 것도 정치적 행위”라고 말했다. 낮은 투표율이 꼭 정치 무관심의 증거는 아니며, 기성 정치권이 투표 효능감을 주지 못했다는 ‘적극적 부정 표현’으로도 볼 수 있다는 취지다. 특히 이 평론가는 지금의 2030을 ‘세월호 세대’라고 규정했다. 정치권이 사태 수습을 못할 때 어떤 비극이 발생할 수 있는지부터 제 역할을 못한 대통령이 탄핵되는 장면까지, 정치의 중요성과 정치 참여의 효능을 젊은 나이에 보고 듣고 느낀 세대인 만큼 정치적 ‘무관심’ 내지 ‘무지’라는 표현은 타당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무당층이 높은 2030의 투표 성향은 어땠을까. 4050이나 6070과 달리 쏠림 현상은 약하지만 일부 고정된 투표 흐름이 확인된다는 분석도 나왔다. 2022년 대선 당시 나타난 이른바 ‘이대남·이대녀’ 현상, 20대 남성의 보수화 경향과 20대 여성의 높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이번 총선에도 유지됐다는 것이다. 차이라면 정권심판론 영향으로 남성 중에서도 조국혁신당 또는 개혁신당 지지자가 유의미한 수치로 나타났다는 정도다. 여성은 민주당 내지 조국혁신당을 더 강하게 지지했다.

이와 관련해 이 평론가는 ‘이준석 현상’도 유의미한 변수라고 주장했다. 지난 대선 때 2030 남성의 윤석열 대통령 지지도가 높았던 것은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당시 국민의힘 대표)에 대한 지지가 더해진 결과였으며, 이번엔 그가 탈당 후 신당 창당에 나서면서 지지도가 분산됐다는 주장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0대 여성 투표 성향도 “이준석이 싫어서 똘똘 뭉쳐 (민주당 지지에서)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이 가능하다고 했다.

2030 투표 성향은 장기적으로 정치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청년정책단체인 청년정치크루 이동수 대표는 “‘차마 한나라당은 못 뽑겠다’던 20년 전 2030(현 4050)과 달리 지금의 청년층은 싫으면 반대쪽으로 돌아설 수도 있는 정치적 유연함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2030 표심을 더 절박하게 잡아야 하는 건 보수 정당”이라고 했다. 6070세대는 나이가 들수록 숫자가 줄어드는 반면 전 세대 중 인구 규모가 가장 큰 4050세대는 상대적으로 장기간 민주당의 높은 지지 흐름을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정치스타트업 뉴웨이즈 박혜민 대표는 “정치권은 ‘왜 20대 유권자 3분의 1은 끝까지 결정하지 못했을까’를 질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30의 관심 의제는 젠더만이 아니며 주거 불안정, 노동 불안, 수도권 과밀화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어젠다를 잘 내놓는 정당이 있다면 표심이 얼마든지 이동할 수 있다고 본다. 박 대표는 “2030이 정치에 무관심하다는 건 공급자 중심의 언어”라며 “유권자가 듣고 싶은, 들리게 하는 정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문희·이유진 기자

moony@kyunghyang.com

<시리즈 끝>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