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을 구워 먹는 연탄불

박찬일 음식칼럼니스트

내가 어렸을 때인 1970년대에는 대도시에서도 여전히 연탄을 땠다. 액화석유가스, 즉 LPG는 이미 도입된 시기였지만 비싸고 시설이 부족해서 일부 아파트 등에만 공급되었다. 1960년대에도 이른바 ‘가스통’이라고 부르는 안전용기 LPG가 있었는데 이는 특이하게도 일본 수입품이었다. 대개의 가정은 연탄-석유-LPG로 연료가 바뀌었다. 우리 집은 오랫동안 연탄과 석유풍로를 같이 쓰다가 80년대 들어 LPG를 쓰기 시작했다.

연탄은 아궁이에 넣어 때므로 난방을 겸해서 요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효율적이었다. 물론 연탄가스 위험이 있어서 날씨가 추워지면 신문 사회면에는 언제나 중독사고 소식이 실렸다. 동회(주민센터)에서는 통반장을 통해서 각 가정의 장판을 열고 금이 간 곳은 없는지 살피는 게 중요한 일이었다. 연탄가스 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고압산소기가 설치된 병원을 소개하는 것도 그때 공무원들의 업무였다.

연탄은 냄새가 고통스러웠지만 열효율이 좋았다. 값이 비싸지는 않았지만 없는 살림에는 그조차 늘 부담스러웠다. 집집마다 방구들 하나에 두 장을 때느냐 세 장을 때느냐로 골머리를 앓았다. 하루 종일 두 장만 때려면 공기구멍을 잘 조절하기 위해 신경을 써야 했고 연탄을 아끼다가 너무 늦게 갈아서 불을 꺼뜨리는 일도 다반사였다. 꺼진 연탄은 숯을 써서 불을 살려야 했는데 잘 붙지 않아 애를 먹었다. 이때 등장한 것이 바로 번개탄(상품명)이라 부르는 착화탄이었다. 연탄 모양으로 생겨서 불이 잘 붙도록 첨가물을 넣어 얄팍하게 만든 번개탄은 날개 돋친 듯 팔렸다.

연탄은 요리에 아주 적합하지는 않았다. 불 조절이 쉽지 않아서였다. 이때 공기구멍과 부지깽이나 연탄집게로 적절한 화력을 잘 만드는 사람이 뛰어난 주부였다. 이를테면 솥밥을 짓다가 뜸을 들이려면 부지깽이로 솥과 연탄의 거리를 떨어뜨려놓았다. 엄마들은 공기구멍 막는 헌 양말 뭉치를 절묘하게 조절했다. 이런 작업에 실패하면 소위 설익고 타는 삼층밥이 되고 말았다.

연탄은 대개 리어카로 날랐다. 문제는 고지대였다. 당시 주소로 ‘산 ○○○번지’라면 험한 언덕을 올라야 했다. 눈이 내리면 길이 얼어 빙판이기 십상이었다. 이런 동네는 난도에 따라 웃돈을 받았다. 연탄 한 장당 3원이니 5원이니 추가금이 붙었던 것이다. 그나마 산동네의 가난한 이들은 대량 주문을 하지도 못하고, 직접 산 아래로 내려가서 새끼줄에 꿴 연탄을 몇 장씩 사 날라 하루하루를 살아갔다. 연탄은 무게가 엄청나서 더러는 ‘뒤밀이꾼’이라는 조수를 고용했다. 그 품삯이 아까워서 동네 어린이들을 10원 주고 임시로 쓰기도 했다.

최근 한동훈 여당 비대위원장이 연탄 배달하는 사진이 신문에 실려서 화제를 모았다. 연탄도 많이 싣지 않은 것 같은데 뒤밀이꾼은 십수 명이 달라붙어 있어서 실소를 자아냈다. 뭔가 보여주려면 진심이 필요하고, 그 진심은 리얼리티가 필요조건이다. 왕년에 연탄배달장수를 숱하게 본 사람으로서 그건 낙제였다.

박찬일 음식칼럼니스트

박찬일 음식칼럼니스트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범선 타고 프랑스로 출발 보랏빛 꽃향기~ 일본 등나무 축제 연방대법원 앞 트럼프 비난 시위 러시아 전승기념일 리허설 행진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친팔레스타인 시위 하는 에모리대 학생들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뉴올리언스 재즈 페스티벌 개막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