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당이 투표 막자는 영주권자 80%가 ‘동포 가족’이라는데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2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국내 거주 중국인 투표권을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에 있는 한국인에게 참정권이 없는 현실은 불공정하므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상호주의에 입각한 대외관계를 확립해야 하고 특히 한·중관계부터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고 했다. ‘중국인 투표권 제한’의 잣대로 상호주의를 내세운 것이다. 한 나라의 선거제도는 민주주의 성숙도에 달린 문제다. 상호주의를 외국인 영주권자 투표권에만 적용하는 것은 국민·비국민을 가리지 않고 개인의 권리를 보장한 국제인권규범 정신에도 반하는 퇴행이다.

공직선거법은 영주권 취득 후 3년이 지난 외국인에게 지방선거 투표권을 부여하고 있다. 그런데도 김 대표는 ‘중국인 투표권’만 문제 삼았다. 국내 외국인 유권자 12만6668명 중 78.9%가 중국인이다. 이런 조치는 세금을 납부하는 지역 주민에게 지방선거 참정권을 허용하자던 선거법 개편 취지에 어긋나고, 특정 집단의 혐오·차별을 조장할 수 있어 우려스럽다.

2021년 단국대 분쟁해결연구센터가 낸 ‘글로벌 시대의 외국인 지방선거권 문제’ 논문을 보면, 2018년 기준 영주권자 55.6%가 한국 국적을 보유한 동포·국민이고, 22.3%는 그 배우자 및 자녀라고 한다. 영주권자의 약 80%가 ‘동포 가족’이라는 것이다. 10만명에 달하는 중국인 영주권자도 해외 동포가 다수라는 뜻이다. 결국 여당에선 ‘동포 가족’의 참정권을 제한하겠다는 것이고, 저출생 문제 해법으로 ‘이민 확대 정책’을 내건 것과도 모순된다. 김 대표 발언은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 발언 갈등의 연장선에 있는 걸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이 “한·중 간 상호주의에 맞도록 제도를 개선하라”고 지시하고,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중국이 내정에 간섭할 수단을 갖고 있다”고 공격한 것도 다를 바 없다. 그 불똥이 영주권자 투표 제한으로 튄 것이다.

많은 선진국이 외국인의 지방선거 투표권을 확대하고 있고 피선거권도 늘리는 추세이다. 저마다 민주주의 보편성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이 추진하는 외국인 투표권 폐지는 정쟁으로 치닫고 불필요한 외교 갈등만 증폭시킬 수 있다. 2006년 아시아 최초로 도입한 외국인 투표권, 그것도 대다수가 동포라는데 정부가 뒤집을 이유가 있는가.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