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2일 무지가 부른 비극적 죽음

최민지 기자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1990년 3월2일 무지가 부른 비극적 죽음

인권활동가 네트워크 관계자들이 지난해 11월 2019 세계 에이즈의날(12월 1일)을 앞두고 서울역광장에서 플래시몹을 펼치고 있다. ‘포지티브(Positive)’는 에이즈 양성반응과 ‘긍정’의 의미를 동시에 표현한 것이다./김정근 선임기자

인권활동가 네트워크 관계자들이 지난해 11월 2019 세계 에이즈의날(12월 1일)을 앞두고 서울역광장에서 플래시몹을 펼치고 있다. ‘포지티브(Positive)’는 에이즈 양성반응과 ‘긍정’의 의미를 동시에 표현한 것이다./김정근 선임기자

에이즈(후천성 면역결핍증)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와 에이즈의 차이는 아시나요?

HIV는 신체 내 면역세포를 파괴하는 원인 병원체입니다. HIV에 감염된 사람이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에이즈 환자가 될 수 있습니다. 즉, 에이즈는 HIV 감염에 의한 결과로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인 것이죠. 또 HIV와 에이즈는 이제 관리만 잘 하면 30년 이상 생존 가능한 ‘만성질환’ 정도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을 아는 사람은 아직 많지 않습니다. HIV와 에이즈에 대한 한국사회의 편견과 무지는 여전히 심각한 수준입니다. 에이즈의 존재가 알려진지 얼마 되지 않았던 1980~1990년대는 말할 것도 없었지요.

30년 전 오늘은 이 무지 탓에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1990년 3월2일자 경향신문에 실린 기사 ‘에이즈 공포 주부 자살’에 그 사연이 담겼습니다.

1990년 3월2일자 경향신문 15면

1990년 3월2일자 경향신문 15면

“경기도 수원의 이OO씨(당시 35세) 집 안방에 이씨의 부인 김OO씨(당시 29세)가 연탄불을 피워놓고 딸 OO(당시 3세), OO(당시 1세)양과 함께 숨져있는 것을 이씨가 발견 경찰에 신고했다. 이씨에 따르면 학교에서 숙직을 한 다음날 오전 8시쯤 귀가해보니 방안에 연탄 6장이 피워진 채 부인과 두 딸 등 3명이 숨져있었으며 ‘아이들을 당신한테 맡길 수 없어 제가 데리고 갑니다. 아빠 죄송해요’라는 내용의 유서가 놓여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경찰 조사에 따르면 부인 김씨는 1986년 첫 딸을 낳은 후 신경통과 신경쇠약 증세로 치료를 받아왔습니다. 최근에는 에이즈 관련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본 후 입술이 부르트고 기운이 없는 것이 자신의 증세와 같고, 지난해 말부터 감기증세로 계속 병원에 다니는 두 딸도 에이즈에 감염된 것 아니냐며 불안해했다고 합니다. 가족들은 김씨가 그해 2월 보건소에서 에이즈 감염 여부 검사를 받고 결과를 기다리던 중이었다고 진술했는데요. 경찰은 이에 따라 김씨가 이를 비관, 두 딸과 함께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벌였다고 합니다.

HIV와 에이즈에 대한 가혹한 시선은 30년이 흐른 지금도 여전합니다.

한국사회의 무지와 무딘 감수성을 보여준 사건이 불과 수개월 전에 있었습니다. 지난해 7월 프로축구단 대전시티즌이 한 브라진 1부 리그 선수의 영입을 발표했다가 하루 만에 취소했는데, 메디컬테스트 과정에서 “에이즈 양성반응을 통보받았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발표만 보면 마치 중증 에이즈 환자인 것 같지만 사실 해당 선수는 HIV 감염인이었습니다. HIV와 에이즈를 구별하지 못한 발표였던 데다, 감염인 정보를 누설해 위법 소지까지 있어 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감염인들이 일상에서 받는 차별과 혐오도 심각한 수준입니다. HIV 감염인 단체 ‘러프포원’이 지난해 6월 발표한 ‘2018 HIV/AIDS에 대한 20~30대 HIV 감염인의 인식 조사’에 따르면 감염인들은 혐오에 일상적으로 노출돼있습니다. 응답자 195명 중 혐오 표현을 ‘매우 자주 듣거나 본다’고 한 사람은 33.8%(66명), ‘가끔 듣거나 본다’는 응답은 59%(115명)인 반면 ‘거의 듣거나 본 적 없다’는 응답은 3.1%(6명), ‘한 번도 접한 적이 없다’는 응답은 4.1%(8명)이었습니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비율도 높았는데요. 전체 응답자 중 49.5%(96명)이 우울 증상을 보였습니다. 1년간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13.3%(26명)이나 됐습니다.

박광서 러브포원 대표는 지난해 6월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한국 HIV 감염인은 주요 삼아 원인을 질병이 아닌 사회적 차별로 인한 자살로 꼽을 수 있을 정도로 혐오가 심각하다”며 “비과학적인 이유로 수많은 차별이 일어나고 있는데 HIV 감염임이 차별 없이 생활하도록 사회가 변화하는 것이 ‘에이즈’ 예방의 지름길”이라고 호소했습니다.

[관련뉴스]당신이 모르는 '에이즈' 상식들...찌개 함께 먹으면 감염될까

[관련뉴스]에이즈에 가혹한 시선...'우울증'까지 시달린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