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식량, 생물다양성 문제들은 서로 긴밀히 연결돼 있다. 그럼에도 문제를 다루는 국제기구와 제도들은 분리되고 전문화됐다. 그동안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서 식량문제가 제대로 다뤄지지 못한 것도 그 때문이다. 다행히 지난달 30일 두바이에서 개막해 오는 12일까지 열리는 COP28에선 식량과 기후변화 문제가 동시에 처음으로 주요 의제로 다뤄지고 있다. 총회 기간 약 25만끼 중 3분의 2가 비건채식인 ‘1.5도 메뉴’로 제공되는 게 상징적 예다.
하지만 전망은 밝지 않다. 2015년 COP21에서 합의한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이내 상승’ 목표를 지켜내려면 2019년 대비 2030년 탄소 배출량이 43%가량 줄어들어야 하지만, 작년 9월 기준 감축률은 3.6%에 그쳤기 때문이다. 오히려 각국의 탄소 배출량은 2019년부터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이미 전 세계 153개국 1만3800명의 과학자들은 2050년까지 1.5도 이내로 낮추려는 기후목표 달성 확률을 17%로 예견하며 단기성 온실가스인 메탄 감축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메탄은 단기간에 지구 온도를 낮추고 에너지 전환의 시간을 상당 부분 벌어주기 때문이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에 비해 20년을 기준으로 할 때 86배 더 센 온실가스로, 방출 후 잔류기간이 훨씬 짧아 단기간에 감축 효과를 볼 수 있다. 메탄은 목축에서 60%, 화석연료에서 40%가 발생한다. 메탄의 효용성 때문에 COP27에서 150개국이 ‘국제메탄서약’에 서명했음에도 연결 고리인 식습관이 빠져서 그런지 서약 이후 오히려 메탄이 증가했다.
오늘날 농업은 생물다양성 손실과 온실가스 배출을 야기하는 원인 중 단일요소로는 최대다. 농업은 전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의 30~40%를 배출할 뿐 아니라 최대의 토지 및 담수 사용자이고 질소·인의 영양물질 과부하를 낳는 주범이다. 특히 축산업은 농업 분야 온실가스 80%를 배출하며 전체 농경지의 80%를 사용하지만 거기서 인간이 얻는 칼로리는 18%에 불과하다. 나머지에서 인류가 필요로 하는 82%의 칼로리를 제공하는 식량이 생산된다.
농업보조금 개혁과 함께 비건채식을 연결 고리로 메탄을 감축하면 탄소 중립에의 상당한 시간을 벌 뿐 아니라 토지·숲·바다의 온실가스 흡수원 재생에도 큰 도움이 된다. 식습관 전환만으로 기아와 인수공통 전염병, 자원고갈은 물론, 각종 환경 파괴와 오염으로 인한 지구 치유력 회복을 돕고 죽임 문화에서 살림 전환에의 결정적 계기도 된다.
COP28에서 개발도상국의 소규모 농가에 대한 기후적응 자금 및 서방국가들의 농업보조금 등 실질적인 개혁 조치를 기대한다.
부국들의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크게 줄이는 비건채식 전환은 개혁의 전제이자 연결 고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