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분노가 생뚱맞은 이유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이 지면에 정희진씨가 생뚱한 글을 올렸다. 해당 칼럼의 온라인 제목은 ‘진중권 글에 분노한 이유’라고 되어 있으나, 아무리 읽어도 그가 분노하는 ‘이유’를 끝내 알 수가 없었다. 왜 화가 났을까? 내 글이 “권력층에 가까운 서울지역 대학 출신 일부 86세대에 해당하는 이야기를 일반화했기 때문”이란다. 그런데 나는 그런 적이 없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평균적 문해력을 가졌다면 내 글이 86세대 중에서 ‘민주화’를 팔아 권력이 된 집단을 겨냥한 것임을 알 게다. 얼마 전 시사저널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한 바도 있다. “옛 친구들 페이스북을 찾아갔어요. 그렇게 막사는 애들도 있지만, 다들 잘 살더라고요. 제 생활하면서 사회적 소수자를 위해 작은 실천들 하면서.”

‘민주화세대’라는 표현이 거슬렸단다. “민주화세대라는 통칭은 민주화세대에 의한 민주화세대의 차별, 즉 성차별, 지역차별, 계급차별을 은폐한다.” 내가 말한 ‘민주화세대’는 정치권의 민주화세대, 즉 그렇게 은밀히 “성차별, 지역차별, 계급차별”을 하고도 ‘민주화’라는 상징자본을 팔아 권력이 된 이들이다.

좀 더 넓히면 조국·윤미향·박원순 사태 때 권력 언저리에서 그들의 행태를 변명하고 옹호해줬던 86세대를 가리킨다. 유력자의 딸에게 기회를 박탈당한 학생, 운동가에게 이용당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인권시장에게 성추행당한 여성비서의 고통보다 그로 인해 구겨진 가해자의 체면을 더 걱정해주던 이들 말이다.

며칠 전 정희진씨는 한겨레신문에 이 세 사건에 대해 이렇게 썼다. “세 가지 사건은 배경도 다르고, 팩트 여부도 규명되지 않았다. 아니, 규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가해자가 아니라는 얘기가 아니라 사회적 합의가 불가능한 사건이라는 의미다.” 한마디로 그냥 덮어두자는 얘기다.

이게 그의 분노의 참된 원천이 아닐까? 그는 말한다. “진 전 교수가 말하는 86세대에 여성은 없다.” 무슨 얘기일까? 정의연의 윤미향 의원은 여성이 아닌가? 박원순 사건 때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이라 부른 남인순 의원은 여성이 아닌가? 그리고 저 세 사건을 UFO처럼 미확인의 영역으로 두자는 정희진씨는 여성 아닌가?

정치권 86에게 보상을 바라지 말랐더니 이렇게 대꾸한다. “수배 중 의문사, 군대 가서 의문사, 녹화(綠化) 사업, 방황과 자살, 행방불명자, 고문 피해, 시위 중 상해가 이후 인생에서 넘치는 보상으로 연결된 경우? 나는 알지 못한다.” 그런데 이들이 언제 보상을 요구했던가? 보상의 요구조차 못하는 게 죽음의 정의(定意) 아닌가.

내가 말한 ‘민주화세대’는
성·지역·계급을 차별하고도
‘민주화’를 팔아 권력이 된
정치권 일부 ‘86세대’들이다
난 그들을 일반화한 적이 없다
그가 분노한 이유를 모르겠다

정치권의 ‘민주화세대’는 이미 “인생에서 넘치는 보상”을 받았다. 그것은 그들이 지금 누리는 지위와 권력으로 증명된다. 유공자로 인정을 받고 보상금도 챙겼다. 민주화를 위해 제 목숨을 바친 이들도 보상을 못 받았는데, 살아남아 온갖 부귀와 영광을 누리는 자들이 무슨 염치로, 무슨 보상을 더 요구하는가?

내가 아는 어느 86은 나라에서 보상해준다고 했을 때 아예 신청도 안 했다. 그는 “보상받으려고 한 일이 아니었다”고 했다. 이것이 내가 생각하는 86세대의 명예 코드다. 내가 페이스북으로 둘러본 친구들 다수는 아직 그 명예를 간직하고 사는 듯했다. 그런데 그들은 조국·정의연·박원순 사태에 모두 분노하고 있었다.

그는 이 세 사건 때 “나 역시 할 말이 많았지만 ‘표현의 자유’도 용기도 없었다”고 고백한다. 하지만 그때 표현의 자유는 차고 넘쳤다. 온갖 망언의 성찬이 벌어지고, 심지어 성추행 피해자를 향한 2차 가해까지 벌어졌다. 그에게 부족했던 것은 한 줌의 ‘용기’였다. 대체 무슨 발언에 쓸 용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글이 횡설수설하는 것은 존재가 모순에 처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내 글이 그 부분을 건드렸나 보다. 그의 분노는 자신을 향해야 했다. 그 거룩한 분노를 내게 투사할 일은 아니었다. 그의 글은 나보다 그 자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말해준다. ‘86세대’라는 말로써 그를 호명한 건 아니었는데, 그 자신이 호명당했다고 느낀 모양이다.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투케’(조우)라고 할까? 내 글을 읽는 것이 그에게 해방서사의 상징계에 가려져 있던 실재계와 조우하는 외상적 체험을 제공했다면, 내 글쓰기는 제 할 일을 한 셈이다. 무의식은 깊은 데에 감추어져 있는 게 아니다. 그가 쓴 글의 표층에 드러나 있다. 그걸 그만 의식하지 못할 뿐이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