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 서열화가 지배하는 사회

한숭희 서울대 교육학 교수

‘상대적 서열화’의 문화가 우리 사회 곳곳에 팽배해 있다. 상대적 서열화란 서로 비교된 차이를 수직적 우열관계로 재배치함으로써 사회적 질서의 기준으로 삼는 방식을 말한다. 학교에서 상대평가로 매겨지는 성적과 등급, 상대적으로 서열화된 대학들, 연봉에 의해 서열화된 일자리들, 수도권으로부터의 거리로 서열화된 전국 시·도, 은행 신용등급 등등. 우리는 서열화가 지배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

한숭희 서울대 교육학 교수

한숭희 서울대 교육학 교수

학교는 이런 서열화를 어릴 때부터 조장하고 익숙하게 하는 핵심 장치이다. 자신이 몇 등급에 해당되는지를 어릴 때부터 뼈저리게 느끼게 해준다. 그렇게 습득된 서열화의 체험은 나이를 먹어서도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증폭될 뿐이다. 사회는 서열화 프레임을 모두에게 강요하며, 우리 스스로도 그런 서열 안에 자신을 가둔다. 상대적 서열이 부여되지 않는 평등이라는 단어가 오히려 낯설다. 아이러니하게도 서열이 명명백백하게 매겨지는 그런 사회를 우리는 ‘공정사회’라고 부른다. 서열화가 사라진 사회를 상상하는 건 마치 몸이 사라진 영혼처럼 기이하고 어색한 일이다.

이런 상대적 서열화가 능력주의 속에 숨으면서 기묘하게 우리 사회를 차별사회로 만들어낸다. 성이나 인종과 달리 능력 차이가 만들어내는 차별성은 오히려 당당하게 자신의 우월성을 정당화한다. 공정성과 과학적 척도라는 이름의 정교하고 치밀한 방법을 동원하여 서열화의 부정적 측면을 무력화한다. 또한 그런 생각들이 재생산되는 곳이 학교나 교육이라는 점에서 능력 차이를 인간 차별로 확대하는 논리 위에 도덕성이라는 옷이 덧입힌다.

적어도 성차별이나 인종차별이 사회적 범죄라는 걸 우리는 잘 안다. 반면 능력에 따른 ‘차이’는 ‘차등’을 넘어 ‘차별’로 이어져도 좋다는 생각이 여전히 지배적이다. 서열화를 가르는 공정성만 보장된다면 능력에 따른 차별은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 상대적 서열화는 카피캣에게 유리한 사회질서를 만들어준다. 단지 높은 서열에 있는 자들과 비슷해지는 것이 자신의 서열을 높이는 과정이 되기 때문이다. 모방사회를 부추기지만 창조사회를 만드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사회모형이다.

상대적 서열만이 존재하는 곳이라면, 모든 상대적 차이는 수직적 우열로 재위치된다. 모든 차이는 완성품과 불량품의 스펙트럼으로 환원된다. 서열이 낮다는 것은 뭔가 문제가 있는 불량품이라는 뜻이다. 다양성이 설 땅이 없다. 상대적 서열만 존재한다면 오케스트라는 소리를 맞출 수 없다. 색깔끼리 경쟁한다면 색채예술은 나올 수 없다.

상대적 서열화는 능력주의가 민주주의라는 외피를 입고 만들어낸 기이한 사회병리현상일 뿐이다. 능력주의란 능력자가 사회를 지배할 권력을 갖는다는 사회이념이며, 명백히 민주주의 원칙에 위배된다. 민주주의와 평등을 모범적으로 지향하는 스웨덴은 민주주의를 위해 엘리트주의 혹은 영재교육을 희생하는 전형적인 국가이다(하지만 영재가 차고 넘친다). 예전에 스톡홀름에서 교육청 국장으로 일하던 한국인에게 들은 이야기가 있다. “우리 같은 경우에 의사가 된다든가 권력을 가진다든가 돈을 많이 번다든가 하면 성공했다고 하고 자랑하는데, 이 사람들은 그렇게 얘기 안 해요. 그렇게 얘기하면 큰일 나요. 저 사람 성공한 거 같다. 이런 얘기 잘 안 해요. 그런 표현을 못하게 되어 있어요. 그런 표현을 하면 저 친구 머리가 돌았나…엘리트주의적인데라고 생각해요. 애가 얼마나 행복한가가 더 중요해요. 성공은 큰 의미가 없어요.”

상대적 서열화 사회를 재생산하는 핵심 기제가 바로 학교라는 사실은 진정 부끄러운 일이다. 학교는 차이를 차등화하고 서열화하기 위해 교육의 정상성을 비튼다. 학생들의 등급을 나누려고 오답을 유도하는 ‘변별력’이라는 것은 바로 서열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탄생한 괴물일 뿐이다. 교실 안에서의 등급화된 결과가 대학을 거쳐 일터까지 이어지는 삶을 강요하는 사회에서 삶의 목적은 결국 끊임없이 서열을 높이는 일이 될 수밖에 없다. 교육의 목적은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삶이 무엇인지를 가르쳐주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 삶에 필요한 제법 괜찮은 도구를 손에 쥐여주는 것이다. 서열화는 교육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민주주의에서의 평등은 법적·제도적 차원을 넘어 개개인의 신념과 감수성 안에 자리 잡아야 한다. 상대적 서열화를 부추기는 일은 성차별이나 인종차별만큼이나 큰 범죄적 행위이다. 하지만 한국은 이미 상대적 서열에 기초한 차별사회이며, 반칙으로 서열을 뛰어넘어도 양심의 가책은커녕 오히려 자랑거리가 되는 그런 사회가 되어버렸다. 공존과 신뢰는 이미 존재감을 잃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