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가 태평양을 건너면

고영 음식문화연구자

“감자는 남작과 수미 외에도 여러 품종이 있다. 이 품종은 크게 분질과 점질로 나뉜다. 분질 감자는 그냥 쪄서 먹거나 으깨어 샐러드에 넣고, 점질 감자는 길쭉하게 썰어 볶음으로 먹거나 감자칩을 만드는 데 적합하다.”(주간동아, 제752호, 2010년 8월30일)

고영 음식문화연구자

고영 음식문화연구자

불볕더위 속에서도 감자는 시장 곳곳 여기저기서 꿋꿋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감자 반찬이며 감자전이 있는 밥상의 소담함, 갓 쪄 낸 감자의 넉넉한 느낌을 떠올리니 절로 미소가 번진다. 머릿속으로는 황교익 칼럼니스트의 말글이 떠오른다. 보신 바와 같다. 감자의 속성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가장 요긴한 개념은 다른 무엇보다도 ‘분질(粉質)’과 ‘점질(粘質)’, 이 둘이다. 온 지구에 무수한 품종의 감자가 있지만 조리와 음식에 잇닿은 핵심은 분질이냐, 점질이냐이다.

예컨대 북미에서는 껍질이 잘 일어나는 러셋 버뱅크(Russet Burbank), 레인저 러셋(Ranger Russet) 등 러셋 돌림자 품종이 널리 재배되고 있다. 으깨 만드는 감자 요리(mashed potatoes), 감자튀김(french fries) 등에 딱이다. 이런 데 어울리는 감자가 분질 감자이다.

분질 감자는 잘 끊어지고 잘 썰리고 모양 잡기에 좋다. 익힌 덩이를 부수거나 으깨는 동안 공이·주걱·숟가락·용기 따위에 덜 붙는다. 틀에서는 말끔히 떨어지고, 구멍에서는 쏙 빠진다. 덜 질척이기 때문이다. 한반도에서 그동안 분질 감자를 대표해온 남작도 그렇다. 황 칼럼니스트의 설명을 빌리면, 남작은 “솥에 찌면 겉이 쫙쫙 갈라지고, 입에 넣으면 보슬보슬 풀어”진다.

남작의 본향(本鄕) 또한 북미이다. 1876년 아이리시 코블러(Irish Cobbler)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나왔고, 오늘날에도 북미 가정에서 감자샐러드용으로 쓰인다. 이 품종이 홋카이도로 들어오면서 ‘남작(男爵)’이라는 말이 붙었다. 1930년대에 조선으로 들어온 이후로는 특히 강원도를 중심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런 점을 인용·확산 가능한 말글로 매체에 제시한 이가 황 칼럼니스트이다. 다시 점질 감자 수미에 대한 그의 설명을 따라가 보자.

점질의 수미는 “삶으면 찐득한 느낌”이되 “남작에 비해 단맛은 더 있”다. 수미는 “제주에서 강원까지 사철 재배가 가능”했고, “지역 적응성과 수확량에서 월등”했다. 깍둑썰기하든 채썰기하든 조림·볶음·전에서 따로 놀지 않는다. 찌개나 국에서는 국물음식에 어울리는 만큼 전분을 풀어낸다. 막 캐서 얼마간은 분질의 속성도 품는 미덕이 있으니 전국형-만능형이었다.

수미는 1961년 미국 위스콘신대학에서 육성해 1962년 출시한 품종이다. 원래 이름은 슈페리어(Superior)이고, 1975년 한국에 들어오면서 그 음과 뜻과 고향을 아우른 ‘수미(秀美)’라는 새 이름이 붙었다. 가차 겸 번안의 작명이다. 1978년에는 보급종으로 선정되는 데 이른다. 북미에서 감자칩을 위한 품종으로 태어났으되, 태평양을 건너서는 한반도의 봄여름 및 겨울 재배 품종, 다수확 품종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윽고 한국인 일상의 추이와 함께 감자칩의 쓰임도 회복한다. 만만찮은 사연이다. 못잖은 남작 이야기는 다음을 기약한다.


Today`s HOT
불타는 해리포터 성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보랏빛 꽃향기~ 일본 등나무 축제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올림픽 성화 범선 타고 프랑스로 출발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이란 유명 래퍼 사형선고 반대 시위 아르메니아 국경 획정 반대 시위 틸라피아로 육수 만드는 브라질 주민들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