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사고 버리는 세상, 수리하죠

고금숙 플라스틱프리 활동가

칼이 잘 들어서 삶의 질이 높아졌다. 토마토를 썰다 말고 벼려진 칼날에 감탄한다. 나 지금껏 토마토도 안 썰리는 무딘 칼로 어떻게 밥해 먹고 살았니? 칼 갈아 쓰는 일은 고물 주면 엿 바꿔주는 시대에나 하는 줄 알았다. 그런 내가 칼 갈 결심을 한 이유는 동네에 ‘칼 갈아요’ 업체가 찾아왔기 때문이다.

고금숙 플라스틱프리 활동가

고금숙 플라스틱프리 활동가

칼 가는 시간은 고작 1분이었으나 소독약 트럭 뒤꽁무니를 쫓는 동네 아이들처럼 온갖 동네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그 옆 정자에는 대여섯 명이 모여 구멍 난 양말을 프랑스 자수로 수선하는 중이었다. 전 애인이 사줬는데 같은 동네라 ‘당근’할 수도 없어 한동안 방치했던 자전거도 등장했다. 휴대전화의 깨진 액정과 배터리 교체까지 최첨단 수리도 진행됐다. 몇년 전 망원시장에서 비닐봉지 없이 장보기를 시작한 ‘알맹이만 찾는 자(알짜)’들은 양말·선풍기·자전거·휴대전화 등을 고쳐보자며 ‘수리수리다수리’를 선보였다.

보통 ‘수리’라 하면 전자제품을 서비스센터에 맡기는 일로만 생각한다. 수리는 보증기간 내 업체가 물건을 고쳐주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수리권’은 애초 제품을 쉽게 수리할 수 있게 만들고, 사용 기한과 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관련 부품을 구비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하지만 우리는 수리할 권리를 내놓고 대신 싸게 사고 쉽게 버리는 길에 들어섰다.

물건은 원료 생산부터 유통과 폐기까지 지구에서 원료를 취하고 지구에 쓰레기를 남긴다. 쌀 한 톨에 온 우주가 들어 있듯 물건 하나에도 온 지구가 들어 있는 셈이다. 유럽환경국(EEB) 조사에 따르면 휴대전화를 1년 더 사용하면 2030년까지 매년 210만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어든다. 이는 해마다 약 100만대의 자동차가 내뿜는 이산화탄소 양과 맞먹는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연간 전자폐기물 양은 1인당 약 15.8㎏인데 이는 세계 평균보다 2배 이상 많은 양이다. 반면 재활용되는 전자제품은 17.4%에 불과하다.

얼마 전 프랑스에 다녀온 ‘알짜’가 판매 중인 전자제품 사진을 보내왔다. 제품 아래 빨간색 혹은 녹색 톱니바퀴와 10점 만점에 몇 점인지 숫자가 있었다. 수리가 쉬운 제품은 녹색에 높은 점수를, 어려운 제품은 빨간색에 낮은 점수를 받는다. 프랑스는 5년 내 수리가 가능한 제품을 60%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수리 등급을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했다. 전자제품·장난감·가구·의류 등에 부담금을 부과해 이를 제품 수리비로 지원한다. 제품 사용 기간이 길수록 쓰레기와 온실가스도 줄지만 새 상품보다 수리비가 비싼 경우가 많아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다. 호주에선 사설업체에 수리를 맡긴 적 있어도 공식 대리점에서 수리를 해줘야 한다. 반면 자가 수리 시 아이폰은 정품 부품을 사용해도 ‘확인되지 않는 부품’이란 경고가 뜨고, 삼성은 무상 수리 서비스에서 제외한다.

하지만 기업이 나서 새 모델을 만들기도 한다. 조명회사 ‘오스람’은 소비자가 조명을 사용하는 시간을 측정해 그 시간만큼 이용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미국 발명가 ‘버크민스터 풀러’는 무언가를 변화시키려면 기존 모델을 구식으로 바꿀 새 모델을 만들라고 했다. 기업이 물건을 빨리, 많이 팔아치우는 것보다 물건을 오래 쓸수록 돈을 버는 사회라면 얼마나 좋을까. 쉽게 사고 버리는 세상을 얼른 수리하지 않으면, 우리 자체가 수리가 안 되는 멸종한 종이 될지도 모르겠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