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모법에 이어 시행령마저 후퇴한 중대재해처벌법

내년 1월 시행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정안이 지난 9일 발표되자마자 논란에 휩싸였다. 뇌심혈관계 및 근골격계 질환 등이 직업성 질병에서 제외되는 등 법 적용 대상이 크게 축소되고, 사업주에 부과된 의무는 모호하게 규정돼 노동계 반발을 사고 있기 때문이다. 이대로 간다면 중대재해법이 제구실을 하지 못할 것이 뻔하다.

중대재해법은 노동자 사망 산재 발생 시 안전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처벌이 핵심이다. 그런데 시행령은 안전보건 관리 구축 의무가 있는 사업주에게 인력·시설·장비 등을 갖추는 데 적정 예산을 편성하도록 했을 뿐 구체적 기준을 정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위험 작업 시 2인1조 원칙 및 신호수 배치 같은 노동계의 요구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기준이 모호하면 사고가 났을 때 인과 관계나 책임 소재를 두고 논란이 일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시행령으로는 홀로 일하다 숨진 김용균씨나 이선호씨와 같은 불행한 사례를 막을 수 없다. 반면 사업주에겐 면죄부를 주는 것이나 다름없다. 노동자 안전보다 기업에 책임 회피 명분을 준 정부로서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중대재해의 대상이 되는 직업성 질병에 과로사 원인으로 지목되는 뇌심혈관계 및 근골격계 질환과 직업성 암이 제외된 것도 문제다.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나, 학교 급식실 비정규 노동자의 폐암 등이 빠지는 문제가 생긴다. 노동자와 시민을 중대재해로부터 보호한다는 입법 취지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논란이 된 사안들은 시행령 제정 전부터 노동계와 시민사회가 강조해온 것들이다. 그럼에도 결과물을 보면 과연 정부가 의견 수렴에 최선을 다했는지 의문이 든다. 지난 1월 누더기가 된 중대재해법을 통과시킨 국회는 ‘경영계 눈치를 본 것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했다. 모법에 이어 시행령마저 졸속이라는 비판을 받는다면 정부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정부는 40일간의 입법예고 기간 동안 노사 등 각계 의견을 반영해 제기된 문제점을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


Today`s HOT
친팔레스타인 시위 하는 에모리대 학생들 뉴올리언스 재즈 페스티벌 개막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개전 200일, 침묵시위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지진에 기울어진 대만 호텔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가자지구 억류 인질 석방하라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