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상용직 8%만 쓰는 육아휴직, 이러고도 저출생 탓할 수 있나

만 8세 이하의 자녀를 둔 상용직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 비율이 8.4%에 불과하다는 통계청 조사가 나왔다. 정부가 그동안 내놓은 육아휴직 활성화 관련 대책들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분명한 증거다. 육아휴직이 심각한 저출생 문제 해결의 주요 해법 중 하나라는 점에서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세계 최저 출생국인 한국에서 법적으로 허용된 육아휴직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저출생 해결 대책은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것은 상식이다. 정부는 이번 통계에서 드러난 내용을 심각하게 인식해 육아휴직 사용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안들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통계청이 2일 기존 가구주와 달리 아동 중심으로 가구 현황을 분석해 처음 내놓은 ‘아동가구 통계등록부’를 보면,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상용직 부모 294만6000여명 가운데 육아휴직을 사용한 사람은 24만9000여명으로 8.4%에 그쳤다(2019년 기준). 더욱 큰 문제는 육아휴직 사용자의 증가속도도 둔화됐다는 점이다. 그동안 정부가 내놓은 각종 지원책들이 통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아이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육아휴직 사용률도 크게 차이가 나 어머니가 18.5%인 반면 아버지는 2.2%에 그쳤다. 여성들이 육아를 전담하는 현실이 여전하다는 점을 입증하고 있다. 법적 휴직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1~6개월에 그친 경우도 15.6%다. 이미 알려졌듯 사용률은 기업 규모에 따라 차이가 커 공무원 등 비영리기업과 대기업 근무자에 비해 중소기업 근무자는 그 절반인 12.4%, 소상공인은 6.2%에 그쳤다. 육아휴직이 더 절실한 한부모 가정은 사용률이 오히려 더 낮았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따르면 정부가 지난 15년간 저출생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투입한 돈은 225조여원에 이르지만 인구 감소세는 여전하다. 실제 한국은 합계 출산율 0.84명으로 이대로 가면 ‘인구 절벽’ ‘인구 지진’은 머지않은 미래에 현실이 될 것이다. 육아휴직 제도의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치밀한 대책이 시급하다. 육아휴직 사용률 확대 자체를 높이기 위한 지원, 육아휴직을 보장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 등이 당장 필요하다. 또 남녀, 기업 규모에 따른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지도와 관리감독 등도 절실하다. 출산·양육·돌봄 과정에의 세밀한 지원, 교육과 부동산 등 출산 장려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토대 마련에도 정부는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Today`s HOT
휴전 수용 소식에 박수 치는 로잔대 학생들 침수된 아레나 두 그레미우 경기장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해리슨 튤립 축제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