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민들레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민들레

[노래와 세상]민들레

봄꽃에 홀려 길을 걷다 문득 발밑에서 기척을 느껴 만나는 꽃이 있다. 아스팔트의 터진 틈으로 수줍게 피어 있는 꽃, 민들레다. 그래서 민들레는 예로부터 민초(民草)들의 상징이었다. 잘 보이지 않는 곳에서 겨울을 견디다가 봄이면 수줍게 피어난다. 이연실은 그런 민들레를 사랑했던 가수였다. 1989년 ‘고운노래모음’(사진)에 민들레를 소재로 한 노래 두 곡을 한꺼번에 발표했다.

“민들레 민들레 피어나/ 봄이 온 줄 알았네/ 잠든 땅 목숨 있는 건/ 모두 다 눈부시게 피어났다네/ …/ 눈덮인 겨울산에서 시름 앓고 울었네/ 길고도 추웠던 겨울 견디어/ 화사하게 피어났다네.”- ‘민들레’ 일부.

이연실이 작사·작곡한 노래다. 같은 앨범에 수록된 ‘노랑 민들레’는 ‘겨울공화국’의 저항시인 양성우의 시에 이연실이 곡을 붙였다. 혹독한 독재와 맞서 싸운 민주투사를 위한 노래였다.

“누가 알까 그대 소리 없는 웃음의 뜻을/ 누가 알까 그대 흐트리는 만가지 꿈을/ …/ 큰 바람에 그대 소리치며 쓰러져 울고/ 다시 눈떠 그대 부활하는 노랑 민들레.”

포크싱어였던 이연실에게 추운 겨울을 보내고 피는 민들레는 그 어떤 꽃보다도 사랑스러운 봄꽃이었다. 그의 또 다른 노래 ‘찔레꽃’도 궤를 같이한다.

진미령이 1979년 발표한 ‘하얀 민들레’는 대중적으로 크게 성공을 거둔 노래였다. “나 어릴 땐 철부지로 자랐지만/ 지금은 알아요 떠나는 것을/ 엄마 품이 아무리 따뜻하지만/ 때가 되면 떠나요 할 수 없어요”라는 노랫말을 기억하는 이들이 아직도 많을 것이다. 작사가는 유명한 사극작가 신봉승이다. 1979년 김자옥과 박근형이 주연한 동명의 MBC 드라마를 위해 만들어진 주제가다.

봄꽃이 천지다. 그래도 발밑의 민들레랑 눈 맞추는 봄이 되었으면 좋겠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