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보지 않는다는 것

백승찬 선임기자

요즘 쇼츠·SNS 등 정보의 홍수 속

우리의 시간은 눈 녹듯 사라진다

공연은 자발적 ‘디지털 디톡스’ 시간

온전히 바깥 세상과 단절된 공연장

또 다른 감각과 시간의 문이 열린다

4월 3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의 ‘마태 수난곡’ 공연. 롯데문화재단 제공

4월 3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의 ‘마태 수난곡’ 공연. 롯데문화재단 제공

예수의 고난과 부활을 다룬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의 바흐 ‘마태 수난곡’ 연주 시간은 인터미션을 포함해 190분에 달했다. 현장에서 만난 지인이 체력을 보충하라며 고맙게도 초코바를 건네주었지만 인터미션에도 먹지는 않았다. 바로크 악기 특유의 거칠고도 맑은 음향, 최고 수준 성악가들의 청아한 목소리, 2000년 전 성인(聖人)의 위대한 행적이 감상자를 몽롱하게 했고, 그 아름다운 몽롱함에서 억지로 깨어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몽롱함의 원인은 연주 자체와 함께 연주 시간에도 있었다. 기나긴 연주 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통한 외부의 자극이 없으니, 영원히 이어질 것 같은 종교음악의 흐름에 몸을 온전히 맡기는 수밖에 없었다. 이런 종류의 음악은 귀가 아니라 온몸으로 듣는다.

오페라 ‘한여름 밤의 꿈’. 하얀 옷에 검은 모자를 쓴 이들은 장난꾸러기 요정 퍽(Puck)의 복제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오페라 ‘한여름 밤의 꿈’. 하얀 옷에 검은 모자를 쓴 이들은 장난꾸러기 요정 퍽(Puck)의 복제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국립오페라단의 <한여름 밤의 꿈> 공연 시간은 인터미션을 포함, 170분이었다. 셰익스피어 원작 희곡을 바탕으로 벤저민 브리튼이 1960년 발표한 현대 영어 오페라다. ‘오페라’ 하면 떠오르는 아름다운 아리아는 없었다. 명색이 ‘희극’이지만 객석에서는 통쾌한 웃음이 터져나오지 않았다. 요정 왕과 왕비의 다툼에서 비롯된 혼란이 인간들의 연애사에 복잡한 뒤틀림을 유발하고 결국 그 모든 혼란이 ‘한여름 밤의 꿈’처럼 사라진다는 내용인데, 분위기가 유쾌하기보단 그로테스크했다. 앙상한 이동형 나무 몇 그루로 표현된 숲에선 무언가 음침하고 불길한 사건이 벌어질 것 같았다. 가수 겸 배우 김동완이 연기한 장난꾸러기 요정 퍽(Puck)은 자기 복제를 해 3명으로 등장했는데,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의 주인공이자 흉악한 범죄자 일당의 의상을 연상케 했다. 꿈인지 생시인지, 악몽인지 길몽인지 모를 순간들이 이어졌다. 이런 중간 지대로 접어들기 위해선 그만큼의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다.

뮤지컬 <헤드윅>의 한 장면. 유연석이 헤드윅 역을 맡은 날이다. 쇼노트 제공

뮤지컬 <헤드윅>의 한 장면. 유연석이 헤드윅 역을 맡은 날이다. 쇼노트 제공

뮤지컬 <헤드윅> 공연시간은 135분이라고 적혀있지만, 실제로 본 유연석 버전의 <헤드윅>은 인터미션 없이 150분이 넘었다. 관객을 무대로 완전히 끌어들인다는 측면에서 <헤드윅>은 별다른 장치가 필요 없는 ‘몰입형 공연’이었다. 대극장을 가득 채운 관객들 중 감히 스마트폰 불빛을 내는 이는 없었다. 이 공연에 오기 위해 많게는 15만원을 지불한 다른 관객을 방해했다가는 그 어떤 눈초리를 받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관람 매너 때문이 아니더라도, <헤드윅> 공연 도중 스마트폰을 꺼낼 생각은 전혀 들지 않았다. 헤드윅은 적극적으로 관객에게 말 걸고 객석에 뛰어들었다. 관객들은 팔자 사나운 로커 헤드윅의 사연에 조금 울고 대체로 웃으며 완전히 몰입했다.

뮤지컬의 경우 인터미션을 포함해 3시간에 달하는 작품이 흔하다. 공연 전 극장에서는 안내원들이 ‘스마트폰을 꺼서 가방 안쪽 깊숙이 보관해달라’고 반복해 고지한다. 스마트폰 때문에 빚어지는 민원을 방지하는 것이 1차 목적이겠지만, 이 요구는 스마트폰 자극 없는 완전한 몰입 환경을 조성하는 부수적 효과도 낸다.

인터미션 때 잠시 스마트폰 전원을 켜는 경우도 있지만, 공연장 바깥 세상과 접속이 끊어진 시간 동안 세상이나 내 삶을 바꿀 만한 엄청난 소식이 전해진 적은 없었다. 설사 그런 일이 있고 내가 즉시 그 소식을 알았다해도 바뀌는 것은 없다. 최근 내가 스마트폰을 끈 동안 전해진 가장 큰 뉴스는 응원하는 야구팀이 역전당했음을 알리는 스코어보드였다. 상심을 감추기 어려운 소식이었지만, 이 역시 경기가 모두 끝나고 아는 것이 내 정신 건강을 위해 나았을지도 모른다.

언젠가 약속 장소에 30여분 먼저 나갔는데 마침 스마트폰 배터리가 방전된 적이 있다. 당장 충전을 할 만한 방법도 없어서 마냥 30분을 기다렸다. 엄청나게 긴 시간이었다. 심지어 장단기적 삶의 방향을 생각해보기에도 충분한 시간이었다. 엄지 손가락으로 쇼츠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훑었다면 녹듯이 사라질 시간이기도 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떠올릴 것도 없이, 시간은 그렇게 상대적이다. 스마트폰을 통해 전해지는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인 정보의 홍수 속에 우리의 시간은 녹아버린다.

카운터테너 필립 자루스키는 ‘마태 수난곡’ 공연을 앞두고 “3시간 동안 앉아 침묵을 지키며 이 미친 세상으로부터 스스로를 단절하는 것은 누군가에게 꼭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공연 시간은 자발적인 디지털 디톡스의 시간이다. 디지털 자극 없는 세상에선 또 다른 감각과 시선의 문이 열린다. 이를 위해 요즘 유행하는 ‘도파민’은 없을수록 좋다.


Today`s HOT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시위대 향해 페퍼 스프레이 뿌리는 경관들
연방대법원 앞 트럼프 비난 시위 인도 스리 파르타샤 전차 축제
보랏빛 꽃향기~ 일본 등나무 축제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이·팔 맞불 시위
올림픽 성화 범선 타고 프랑스로 출발 이란 유명 래퍼 사형선고 반대 시위 아르메니아 국경 획정 반대 시위 틸라피아로 육수 만드는 브라질 주민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