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경향신문

이슈

홍콩 시위
  • 전체 기사 323
  • 2022년1월 3일

    • 홍콩 독립언론 시티즌뉴스도 “폐간”

      홍콩 온라인 매체 시티즌뉴스(중新聞)가 폐간을 결정했다. 홍콩 민주진영 언론이 폐간하는 것은 최근 6개월 사이에 이번이 세 번째다.시티즌뉴스는 지난 2일 밤 페이스북을 통해 4일부터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시티즌뉴스는 “위기의 시기에 우리는 배에 탄 모든 이의 안전을 우선 보장해야 한다”며 “무거운 마음으로 폐간을 발표한다”고 공지했다. 이어 “우리는 초심을 잊은 적이 없지만 안타깝게도 지난 2년간 홍콩 사회의 변화와 언론 환경의 악화로 이 작은 배는 강한 바람과 파도 아래 심각한 상황에 부닥쳐 있다”고 밝혔다.시티즌뉴스는 2017년 1월 크리스 영 전 홍콩기자협회장이 빈과일보, 홍콩 공영방송 RTHK 등에서 일하던 중견 언론인들과 함께 창간한 독립언론이다. 직원은 40여명이다. 그동안 크라우드 펀딩으로 운영됐다. 시티즌뉴스는 “저널리즘의 전문적인 정신을 계승하고 대중과 대중의 이익에 봉사한다”는 기치를 내걸고 중국 정부에 비판적인 보도를 해왔다. 시티즌뉴스...

      21:35

  • 2021년12월 20일

    • 홍콩 투표율 ‘30.2%’ 민심 외면…친중파 90석 ‘거수기 의회’ 탄생

      중국이 ‘애국자가 다스리는 홍콩’을 기조로 홍콩 선거제를 개편한 이후 처음 치러진 입법회(의회) 선거에서 친중 진영이 완승을 거뒀다. 투표율은 역대 최저인 30.2%를 기록했다. 홍콩과 중국 당국은 “민주주의의 진전”이라며 ‘투표 보이콧’ 민심과 동떨어진 아전인수식 해석을 내놨다.홍콩 선거관리위원회는 19일 치러진 입법회 선거에 전체 유권자 447만2863명 중 총 135만680명이 참여해 투표율이 30.2%로 집계됐다고 20일 발표했다.이는 1997년 홍콩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 역대 입법회 선거 중 최저 투표율이다. 이전까지는 2000년 선거 투표율이 43.57%로 가장 낮았다. 우산혁명 이후 치러진 2016년 9월 입법회 선거 당시 투표율 58.29%와 비교하면 28%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반면 무효표는 2.04%로 역대 총선에서 최고치를 기록했다.이번 선거는 중국이 지난 3월 홍콩 선거제를 개편한 후 처음 실시되는 입법회 선거다. 후보 등...

      21:37

  • 12월 19일

    • ‘친중파 선거’ 등돌린 홍콩 유권자…‘투표율 얼마나 낮을까’ 관심
      ‘친중파 선거’ 등돌린 홍콩 유권자…‘투표율 얼마나 낮을까’ 관심

      ‘애국자가 다스리겠다’는 목표를 내건 홍콩 입법회(의회) 선거가 19일 치러졌다. 친중 일색인 후보들로 민심이 싸늘해지면서 선거 전부터 시민들이 선거 보이콧과 백지투표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20일 발표될 선거 결과에서 투표율이 얼마나 낮을 것이냐가 선거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홍콩 정부는 백지투표를 선동한 혐의로 10여명을 체포하는 등 투표율을 끌어올리려 안간힘을 썼다.■ 친중 인사로 채워진 선거홍콩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30분부터 오후 10시30분까지 630여개 투표소에서 의원 90명을 선출하는 입법회 선거가 실시됐다. 홍콩 입법회 선거는 당초 지난해 9월 치러질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확산 등을 이유로 1년 넘게 미뤄졌다. 그사이 중국은 애국자가 다스리는 홍콩을 만들겠다며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홍콩 특별행정구 선거제도 완비에 관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에서 홍콩 민...

      21:21

  • 8월 16일

    • 벼랑 끝 ‘홍콩 민주주의’

      홍콩의 대표적인 시민사회 연대체인 민간인권전선이 해산을 결정하면서 민주진영의 와해가 가속화되고 있다.민간인권전선은 지난 15일 성명을 내고 “회원단체 총회를 거쳐 만장일치로 단체 해산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민간인권전선은 “지난 1년여 동안 정부는 코로나19를 이유로 민간인권전선과 다른 단체의 집회 신청을 거부해 왔고, 시민사회가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했다”며 “대표가 감옥에 있고 사무국 운영을 유지할 방법이 없어짐에 따라 어쩔 수 없이 해산을 선언하게 됐다”고 덧붙였다.민간인권전선은 2002년 홍콩의 40여곳이 참여해 만든 연합단체다. 2003년부터 매년 홍콩 주권반환일인 7월1일 민주화를 요구하는 거리 행진과 집회를 주최해왔고, 2019년에는 범죄인 인도 조례(송환법) 반대 시위를 주도했다.지난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이후 이 단체는 당국의 거센 압박에 직면해 왔다. 단체 대표인 피고 찬은 2019년 불법 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지난 5월 ...

      21:22

  • 7월 27일

    • 홍콩 보안법 첫 유죄 판결

      작년 보안법 반대 시위 현장경찰에 오토바이 돌진 20대29일 재판서 선고 형량 주목지난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반대 시위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경찰을 향해 돌진한 혐의로 기소된 24세 남성이 유죄를 선고받았다.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첫 사례인 동시에 첫 유죄 판결 사례다.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7일 홍콩 고등법원이 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퉁잉킷에게 유죄를 선고했다고 보도했다. 퉁잉킷은 지난해 7월1일 홍콩 완차이 지역에서 열린 홍콩보안법 반대 시위 현장에서 ‘광복홍콩, 시대혁명’이라고 적힌 깃발이 달린 오토바이를 타고 돌진해 경찰관 3명에게 부상을 입힌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지난해 6월30일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후 처음 기소된 사례로, 그에게는 보안법상 국가 분열 선동과 테러 혐의가 적용됐다. 홍콩보안법은 국가 분열과 국가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에 대해 최고 무기징역을 선고할 수 있도...

      21:38

    • 홍콩서 보안법 위반 첫 유죄 판결…법원 “‘광복홍콩’ 구호로 분열 선동”
      홍콩서 보안법 위반 첫 유죄 판결…법원 “‘광복홍콩’ 구호로 분열 선동”

      지난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반대 시위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경찰을 향해 돌진한 혐의로 기소된 24세 남성이 유죄를 선고받았다.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첫 사례인 동시에 첫 유죄 판결 사례다.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7일 홍콩 고등법원이 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퉁잉킷에게 유죄를 선고했다고 보도했다. 퉁잉킷은 지난해 7월1일 홍콩 완차이 지역에서 열린 홍콩보안법 반대 시위 현장에서 ‘광복홍콩, 시대혁명’이라고 적힌 깃발이 달린 오토바이를 타고 돌진해 경찰관 3명에게 부상을 입힌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지난해 6월30일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후 처음 기소된 사례로, 그에게는 보안법상 국가 분열 선동과 테러 혐의가 적용됐다. 홍콩보안법은 국가 분열과 국가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에 대해 최고 무기징역을 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퉁잉킷의 형량은 오는 29일 열리는 다음 재판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재판부는...

      17:41

  • 5월 16일

    • 홍콩 반중매체 빈과일보, 사주 자산 동결로 ‘위기’

      홍콩의 대표적 반중 매체 빈과일보가 사주의 자산동결로 큰 위기를 맞게 됐다. 홍콩 정부가 지난 14일 신문공보 홈페이지를 통해 빈과일보 사주인 지미 라이(黎智英)의 자산동결 소식을 발표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이 16일 보도했다. 보안국장 명의로 발표된 라이의 자산동결 결정은 지난해 시행된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에 따른 것이다. 홍콩 범민주진영의 대표 인사 중 한 명인 라이는 앞서 2019년 ‘범죄인 인도조례’(송환법) 반대 시위 당시 불법 집회를 조직한 혐의 등으로 징역 14개월을 선고받았고,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도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SCMP는 홍콩보안법을 인용해 자산동결 결정이 이뤄진 건 라이가 처음이며, 동결된 그의 자산 규모는 약 5억홍콩달러(약 727억원)에 이른다고 전했다. 현지 언론들은 라이의 자산동결 조치가 반중 매체인 빈과일보의 미래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빈과일보는 사주의 자산동결 소...

      21:23

  • 1월 31일

    • 영국, 홍콩 반환 전 출생 홍콩인에 이민 확대…중국 “내정 간섭” 반발

      영국 정부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에 맞서 영국해외시민(BNO) 여권을 가진 홍콩인들에 대한 이민 확대 정책을 시작했다.최소 30만명 이상의 홍콩 시민들이 영국행을 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중국이 BNO 여권을 여행과 신분 증명서류에서 제외하는 등 양국 간 마찰이 예상된다.영국 정부는 31일(현지시간) BNO 여권을 소지한 홍콩인을 대상으로 특별비자 발급 절차를 시작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이날 시작된 특별비자 발급 제도는 지난해 6월30일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이후 영국 정부가 이민법을 개정해 새롭게 만든 것이다.그동안 BNO 여권 소지자는 영국에 최대 6개월까지만 체류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비자를 발급받아 5년 동안 영국에 거주할 수 있고 이후 1년이 지나면 시민권도 취득할 수 있게 했다.이는 지난해 중국이 홍콩에서 반정부 활동을 처벌하는 내용의 홍콩보안법을 시행하자 영국 정부가 과거 식민지였던 홍콩 시민들을 보호하...

      21:21

  • 1월 28일

    • 바이든 보란 듯…‘민주 인사 무더기 체포’ 홍콩 정부 치켜세운 시진핑

      홍콩 정부가 민주진영 인사들을 무더기 체포해 국제사회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홍콩 정부에 대해 “직무에 책임을 다하고 있다”고 높이 평가했다. 미국의 반대에 상관없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을 앞세워 홍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대만에 이어 홍콩을 두고도 미·중 간의 힘겨루기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전날 시진핑 주석이 화상 방식으로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으로부터 2020년도 업무보고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은 “홍콩이 범죄인 인도 조례(송환법) 반대 시위와 코로나19 등으로 심각한 충격을 받았지만 질서 유지와 방역, 경제 회복 등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또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가 홍콩보안법을 제정한 후 홍콩 정부가 홍콩을 정상 궤도로 되돌렸다”며 람 장관과 홍콩 정부의 직무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시 주석은 일국양...

      21:16

  • 1월 6일

    • 홍콩 경찰, 범민주 인사 53명 체포
      홍콩 경찰, 범민주 인사 53명 체포

      홍콩 경찰이 6일 하루 동안 범민주진영 인사 53명을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무더기 체포했다. 지난해 6월30일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이래 단일 검거로는 최대 규모다. 이들 중에는 홍콩 시민들이 직접 선출한 현직 구의회 의원뿐 아니라 미국 국적 변호사까지 포함돼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6일 명보, 홍콩01 등 홍콩 매체들의 보도를 종합하면 홍콩 경찰은 이날 전 입법회(의회) 의원과 현직 구의회 의원 등 정치인과 교수, 전직 기자 등 범민주진영 인사들에 대한 무더기 체포 작전을 진행했다. 체포 명단에는 우치와이(胡志偉) 전 주석을 비롯한 홍콩 제1야당인 민주당 인사들과 공민당의 앨빈 융(楊岳橋) 주석과 궉카키(郭家麒) 의원 등 전 입법회 의원 15명이 포함됐다. 지난해 ‘범죄인 인도 조례’(송환법) 반대 시위를 주도한 지미 샴(岑子杰) 등 현직 구의회 의원 18명도 체포됐다. 향후 의원 자격 박탈 가능성도 있어 현재 범민주진영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