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묘지에 대해 얼마나 아십니까

홍진수 기자

한국전 후 급히 조성 동작동 부지

선조가 할머니 묘소 이장한 ‘명당’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210번지. 앞에는 한강이 흐르고 뒤로는 관악산 공작봉이 호위하듯 펼쳐져 있다. 이곳의 인터넷 홈페이지는 ‘산수의 기본이 유정(有情)하고 산세가 전후좌우에 펼쳐져 흐르는 듯하여 하나의 산봉우리, 한 방울의 물도 서로 조화를 이루지 않은 곳이 없으며 마치 목마른 코끼리가 물을 마시는 듯한 형상(渴形象)으로 그야말로 명당 중의 명당이라 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곳은 어디일까. 바로 국립서울현충원, 흔히 ‘동작동 국립묘지’라고 부르는 곳이다.

요즘은 공원처럼 여기는 사람들도 있지만, 서울현충원은 여전히 일반 국민들에게는 엄숙하고 어려운 장소다.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인들이 검은 옷을 입고 비장한 표정으로 참배를 하곤 하는 현충탑, 전쟁의 아픔을 여전히 간직한 채 비석을 어루만지는 유족, 충혼당(납골당) 등 무거운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다.

그러나 서울 현충원은 알고 보면 그리 무거운 곳만은 아니다. ‘호국공원’이란 또 다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시민들의 휴식처로도 활용도가 높다.

1948년 국군 전사·순직자 묘지로 출발한 국립서울현충원은 64년째 순국 선열들의 안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8·15 광복절 다음날인 16일 서울현충원 묘역에 까치들이 앉아 있다. | 강윤중 기자 yaja@kyunghyang.com

1948년 국군 전사·순직자 묘지로 출발한 국립서울현충원은 64년째 순국 선열들의 안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8·15 광복절 다음날인 16일 서울현충원 묘역에 까치들이 앉아 있다. | 강윤중 기자 yaja@kyunghyang.com

■ 국립묘지의 시작

서울현충원은 국내에 조성된 8개 국립묘지 중 한 곳이다. 서울현충원과 동급인 대전현충원이 있고 민주화 운동 유공자 등이 잠들어 있는 경남 마산 3·15 묘지(1960년 3·15 마산의거), 서울 수유동 4·19묘지(1960년 4·19 민주혁명), 광주 5·18묘지(1980년 광주민주화운동)도 모두 국립묘지다. 경북 영천과 전북 임실, 경기 이천의 ‘호국원(군경 묘역)’은 2006년 1월30일부터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이 중에서 가장 먼저 생긴 곳은 서울현충원이다. 1948년 북한군과의 국지적 충돌, 여순사건 등에서 생긴 국군 전사·순직자들을 서울 장충사에 안치하기 시작한 것이 현충원의 시초가 됐다. 국립묘지 조성의 필요성이 급속하게 대두된 것은 역시 전쟁 때문이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한 뒤 전사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자 육군은 내부적으로 육군묘지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1952년 5월 국방부 국장급 회의에서 “육군만의 묘지보다는 국군묘지를 만드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의견이 채택됐다. 11개월간의 답사를 거쳐 1953년 9월 지금의 동작동이 최종 부지로 결정됐다.

묫자리를 결정할 때 따져보는 풍수지리는 당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른 기준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5만명 이상이 묻힐 묘지가 들어서기 위해서는 ‘가급적 민가와 부락이 없는 곳’이어야 했고, 전방에서 너무 멀거나 가까워도 안됐다. 무엇보다 무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배수가 잘되는 지형이어야 했다.

그런데 이런 조건을 따져서 선택한 서울현충원 자리는 나중에 알고 보니 ‘명당 중의 명당’이었다. 서울현충원이 들어서기 한참 전부터 자리를 하고 있던 ‘창빈 안씨 묘소’가 이를 증명하고 있었다. 서울현충원 중턱에 있는 김대중 대통령 묘소에서 이승만 대통령 묘소 쪽으로 내려오다 보면 있는 창빈 안씨 묘소는 서울시 유형문화재 54호다. 후궁의 묘소지만 꽤 규모가 있고 봉분과 호석 등 형식도 모두 갖췄다. 창빈 안씨는 조선 11대 임금인 중종의 후궁이기도 하면서 조선 14대 왕 선조의 할머니이다. 원래 묘소는 경기 양주에 있었지만 선조가 왕위에 오른 뒤 명당을 찾아 현재의 자리로 이장했다.

당초 국군묘지로 출발한 서울현충원은 1965년 대통령령에 따라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이어 베트남전으로 안장묘역이 급격히 소진되면서 1979년 8월에는 지금의 대전현충원인 대전국립묘지도 만들어졌다. 1996년 국립묘지 대신 ‘현충원’이란 이름이 붙었고, 2006년 1월에는 국립묘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현재의 위상이 완성됐다.

조선 14대 임금 선조의 할머니 창빈 안씨 묘소. | 강윤중 기자

조선 14대 임금 선조의 할머니 창빈 안씨 묘소. | 강윤중 기자

■ 국립묘지에는 누가 묻히나

국군묘지에서 출발했기에 군인과 경찰, 항일 애국지사 등이 가장 많다. 그러나 이종욱 전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베를린 올림픽 영웅인 마라토너 손기정옹, 동요작가 윤석중 선생 등 다른 형태로 국가에 공헌한 분들도 현충원에 모셔져 있다.

이러한 예우는 한국인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캐나다인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한국명 석호필), 중국 화교 장후이린(姜惠霖), 위쉬팡(魏緖舫) 열사는 외국 국적이지만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스코필드 박사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연세대 의대의 전신) 교수로 재직 중 1919년 3·1 기미독립운동이 일어나자 탑골공원에서 함께 만세운동을 펼쳤다. 장후이린 열사와 위시팡 열사는 한국전쟁에 참전해 무공을 세웠다.

■ 국립묘지에 잠들 수 있는 기한은 60년

총면적이 143만㎡에 이르는 서울현충원의 매장 구역은 이미 만장 상태다. 납골당인 충혼당에는 아직 자리가 있지만 매장 구역은 더 이상 여유가 없다. 납골당이 아니면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부부 합장만 가능한 상태다. 대전현충원도 올해로 기존 묘역(6만6327기)은 만장이 된다. 다만 대전현충원은 일찌감치 서울현충원의 2배가 넘는 부지(322만㎡)를 확보해 올해 1만4000기, 2015년 1만7000기, 2019년 1만9000기 자리를 더 만들 예정이다. 이에 최종 만장은 2024년까지 연장됐다. 호국원도 현재 3곳 외에 경남 산청과 충북 괴산, 제주 노형동 등에 더 들어설 계획이라 걱정을 덜었다.

국립묘지 안장 기한은 60년이다. 60년이 지난 뒤에는 심의를 거쳐 영구 안장 또는 위패 봉안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유족들이 아직까지는 이장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안장 기간은 사망일부터 기산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 법이 만들어지기 전에 사망한 분들은 소급 대상이 아니다. 60년을 규정한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은 2006년 1월에 제정됐다. 최소 2066년까지는 강제 이장될 우려가 없다. 배우자와 합장하는 경우에는 합장일을 기준으로 다시 계산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안장 기한이 60년을 넘길 수도 있다.

서울 동작구 현충로 국립서울현충원은 도심 속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풍경을 계절마다 연출한다. 봄 전시행사, 가을 단풍, 겨울 설경(위쪽부터) 등 사계의 풍경을 2011년 국립현충원 사진 공모 입상작들이 담고 있다. | 국립현충원 제공

서울 동작구 현충로 국립서울현충원은 도심 속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풍경을 계절마다 연출한다. 봄 전시행사, 가을 단풍, 겨울 설경(위쪽부터) 등 사계의 풍경을 2011년 국립현충원 사진 공모 입상작들이 담고 있다. | 국립현충원 제공

■ 국립묘지와 대통령

국립묘지에 안장된 한국의 전직 대통령은 4명이다. 이승만, 박정희,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는 서울현충원에, 최규하 전 대통령 묘소는 대전현충원에 있다. 윤보선 전 대통령은 고향인 충남 아산 선산에, 노무현 전 대통령은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안장됐다.

서울현충원의 대통령 묘역은 방문객들의 필수 참배 코스다. 현충원 최정상에 박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가 나란히 안장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승만 전 대통령 부부의 봉분이 차례로 있다. 서울현충원 관계자는 “왜 돌아가신 순서대로 배치되지 않았냐고 항의하는 분들도 있는데, 예정에 없이 당시 상황에 따라 조성된 묘역이라 순서는 큰 의미가 없다”며 “대전현충원에는 국가원수 묘역이 따로 조성되어 총 8분이 들어가실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 부부와 박 전 대통령 부부 봉분은 쌍분이다. 봉분이 별도로 조성되어 있다. 서울현충원 관계자는 “먼저 사망한 육 여사가 국가유공자 자격으로 묻혔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육 여사는 1974년 8월15일 광복절 기념식에서 총격으로 사망한 뒤 국가유공자로 선정돼 국립묘지행이 결정됐다. 이후 박 대통령이 사후에 전직 대통령 자격으로 국립묘지에 들어와 나란히 묻혔다.

반면 이 전 대통령의 부인인 프란체스카 여사는 전직 대통령의 배우자 자격으로 기존 이 전 대통령의 묘소에 합장됐다. 최근에는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이 사후 현충원에 안장될 가능성이 남아있어 논란이 되기도 했지만 지난 1일 개정 국립묘지법 시행으로 내란죄를 저지른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은 국가보훈처 주관 국립묘지안장심의위원회 심의대상에 올라갈 수 없게 돼 일단락이 된 듯하다. 하지만 안장 가능성이 완전히 차단된 것은 아니다. 국가장법에 따르면 전직 대통령이 사망하는 경우 유족 등 의견을 고려해 행정안전부 장관 제청으로 국무회의 심의를 마친 후 대통령이 결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장을 치를 수 있다. 국가장으로 장례된 사람은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있다.

■ 현충원 관리는 어떻게 하나

국립묘지에 대해 얼마나 아십니까

서울현충원 직원은 원장까지 포함해 76명에 불과하다. 전체 면적 143만㎡에 묘역만 56개인 서울현충원 전역을 관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서울 현충원 관계자는 “직원 1명당 1개 묘역씩을 할당해 업무시간 외에 관리를 맡기고 있다”며 “학생과 군인 등 자원봉사자에게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현충원을 방문하면 각 비석 옆 꽃병에 한결같이 무궁화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꽃들은 모두 ‘조화’다. 무연고 묘지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2005년부터 모든 비석 앞에 조화를 놓아두고 있다.

조화도 퇴색되기 때문에 매년 현충일과 추석을 앞두고 교체 작업을 한다. 서울현충원 관계자는 “전체 유해의 60%를 차지하는 한국전쟁 전사자 묘역을 찾는 유가족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며 “1인 1헌화 운동 등으로 이분들이 쓸쓸함을 느끼지 않도록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Today`s HOT
보랏빛 꽃향기~ 일본 등나무 축제 연방대법원 앞 트럼프 비난 시위 러시아 전승기념일 리허설 행진 친팔레스타인 시위 하는 에모리대 학생들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뉴올리언스 재즈 페스티벌 개막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