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뽑기만 하고 지원은 없는 현실…장애교원 배려, 말 아닌 실천을”

김세훈 기자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조

김헌용 위원장

시각장애인 교사 김헌용씨가 19일 서울 강동구 신명중학교 영어교실 앞에서 점자영어교재를 들고 있다. 김씨가 학교로 온 뒤로 1층 교실에는 점자교실안내판이 만들어졌다. 김세훈 기자

시각장애인 교사 김헌용씨가 19일 서울 강동구 신명중학교 영어교실 앞에서 점자영어교재를 들고 있다. 김씨가 학교로 온 뒤로 1층 교실에는 점자교실안내판이 만들어졌다. 김세훈 기자

2019년 노조 설립, 끈질긴 투쟁
안팎 난관 헤치고 단협 등 성과

당국 인식 조금씩 바뀌었지만
예산 부족·책임 떠넘기기 여전

장애인의날을 하루 앞둔 19일 오전 서울 강동구 신명중학교 영어교실. 수업종이 울리자 시각장애인 교사 김헌용씨가 밝은 얼굴로 학생들을 맞았다. 김씨는 사물을 전혀 보지 못하는 전맹 시각장애인이다. “주원이 안녕.” 김씨가 점자 정보단말기를 이용해 학생들의 이름을 부르며 출석을 확인했다. 수업을 마친 뒤에도 김씨는 점자교재를 펼쳐놓고 다음 수업 준비를 이어갔다.

김씨에게 교사가 되는 일은 도전이었다. 전례가 거의 없었다. 2006년 장애인 교원 의무고용제가 시행되자 기회가 열렸다. 김씨는 2010년 처음 교단에 섰다.

현장은 녹록지 않았다. 동료 교사들이 쓰는 인트라넷은 김씨에게 무용지물이었다. 점자 정보단말기 등 보조공학기기도 없었다. 점자 교과서를 받지 못해 직접 점자도서관에 제작을 의뢰해야 했다. 김씨는 “당시 ‘뽑아준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고, 뭔가를 요구하기가 어려웠다”며 “허허벌판에 던져진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어려움을 털어놓을 곳도 없었다. 동료 교사들과 ‘한국시각장애교사회’를 만들어 정보를 나눴다. 어느 순간부터 “환경에 맞춰 가기만 할 게 아니라 직접 환경을 만들어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나아가 노동조합 설립도 추진했다. 초기 반응은 차가웠다. ‘장애인에 대한 낙인이 커질 것이다’ ‘노조일을 할 사람 뽑기도 어려울 거다’ 등 의견이 나왔다. 김씨는 “장애인은 뭔가를 요구하는 사람이라는 인식 때문에 위축됐던 것도 있었다”고 말했다.

마침내 2019년 노조가 설립됐다. 지금의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이다. 김씨는 설립 당시 사무총장을 맡았고 2021년부터 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서로 다른 장애가 있는 교사들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기부터가 쉽지 않았다. 김씨는 “겪고 있는 장애 종류에 따라 필요한 것이 서로 다르다. 처음에는 소통도 원활하지 않다 보니 오해가 쌓이기도 했다”며 “당사자인 나도 다른 장애에 대해서는 인식이 부족했다는 걸 아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현재 노조에는 시각·청각·지체 장애 등을 가진 교사 200여명이 가입해 있다.

노조는 교육당국의 인식을 바꾸는 일에 전념했다. 지난해 1월 “청각장애 교사들이 수어통역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한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집단 진정을 냈다. 지난 2월 인권위는 전국 시도교육청 교육감에게 수어통역 등을 지원하라고 권고했다. 지난해 6월에는 교육부와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장애인 교원 인사관리 안내서가 발간됐다.

김씨는 이 모든 것이 “투쟁의 결과”라고 말했다. 김씨는 “이전까지 우리의 요구는 ‘민원’에 불과했다”며 “단체협약을 통해 대등한 조건에서 우리가 필요한 것들을 말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그는 “우리를 이해하지 못했던 교육당국에 우리 스스로의 삶을 보여줘야 했는데 이게 쉽지 않았다”며 “내 장애를 전시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끼기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달라지지 않는 부분도 있다. 김씨는 “장애인차별금지법상 교육청은 편의를 지원할 의무가 있는데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떠넘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올해 지원 예산이 삭감된 뒤 노조는 지난 1월 서울 중구 사무실을 나왔다. 현재는 온라인 회의 등을 통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김씨는 “전국 장애 교원 수는 지난 15년간 5000명으로 크게 늘었지만 지원은 이에 못 미친다”며 “지부가 설립된 서울·전남과 그 밖에 인천·대구 정도를 제외하면 장애 교사 편의 지원을 위한 별도의 지방자치단체 예산이 없다시피하고 전담자도 없는 실정”이라고 했다.

김씨는 ‘장애인의날’에 양면적 감정이 든다고 했다. 장애인의날에 맞춰 각 학교에서 장애 이해 교육을 하지만 현실은 다르기 때문이다. 그는 “교육은 말이 아니라 실천이 동반되어야 의미가 있는 것”이라며 “학교 내 장애 교원에 대한 지원이나 소통 없이 학생들에게 ‘장애인을 배려해야 한다’고 가르치는 게 앞뒤가 안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Today`s HOT
이 기쁨이 203주년, 과테말라 독립 기념일 이집트 기차 충돌로 어린이 2명 사망 이색 대회 독일 취미 경마 선수권 대회 재앙처럼 번지는 남미 산불
태풍 야기로 인한 홍수로 침수된 태국 치앙라이 영국 공군대학에서 퍼레이드를 준비하는 윌리엄 왕자
네덜란드 해방에 기여한 사람들의 묘지를 방문한 사람들 허리케인 프랜신으로 파손된 미국의 한 매장
볼리비아 산불을 냉각하고 있는 사람들 브라질 원주민의 망토 반환을 축하하는 기념식 베네수엘라 청년당 창립 기념 행사 태풍 야기로 경찰의 도움을 받는 미얀마 주민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