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가 내게 일깨워준 것들

강명구 뉴욕시립대 바루크칼리지 정치경제학 종신교수

여느 때와 다른 세밑이다. 이렇게 어려운 시기일수록 남 탓과 악다구니도 늘게 마련이다. 반면 선하고 긍정적인 에너지의 진가도 더욱 도드라지게 된다. 올 한 해 방탄소년단(BTS)이 미국에서 더욱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된 이유 아닌가 싶다.

강명구 뉴욕시립대 바루크칼리지 정치경제학 종신교수

강명구 뉴욕시립대 바루크칼리지 정치경제학 종신교수

이들의 이름을 들어보긴 했지만 사실 잘 몰랐다. 아니 굳이 알려고 하지 않았다는 표현이 맞겠다. 마음 한쪽에 아이돌 육성시스템과 그 문화가 확산시키는 외모지상주의 등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이 또아리를 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지난 11월 하순 어느날, 차를 몰고 가며 듣던 라디오 음악방송에서 이들의 노래가 흘러 나왔다. 영어가 조금 섞여 있긴 했지만 분명 우리말 노래였다. 귀가 쫑긋해졌다. “잠시 두 눈을 감아 여기 내 손을 잡아 저 미래로 달아나자.” 팬데믹으로 방 안에 갇혀 세상과 격리돼 우울감과 슬픔에 빠져있을 사람들을 위로하는 내용이었다. 발매 1주일 만에 빌보드 앨범 및 싱글차트 1위곡이라고 했다. ‘우리말 노래가 빌보드 1위를 했다고?’ 순간 멍해졌다.

찾아보니 11월 하순에 발표한 Be란 앨범에 수록된 7곡 중 6곡이 우리말 가사 노래들인데, 발매 2주차엔 7곡 모두 빌보드 ‘핫100’ 차트에서 35위권 이내에 진입해 있었다. 또한 빌보드 ‘아티스트100’ 차트에 진입한 건 이미 4년이 넘고, 15주째 1위란다. 그 많은 미국 내 가수와 밴드들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다는 얘기다. 음반업계 종사자의 투표로 정해지는 그래미상과 달리 빌보드의 이 랭킹들은 오롯이 음반판매량, 온라인 스트리밍 및 라디오 방송 횟수 등 측정 가능한 근거에 의해 산출된다. 소셜미디어상에서 이들의 영향력은 3년이 넘도록 압도적인 1위다. 유튜브상의 BTS 관련 비디오 150개의 총 조회수는 170억뷰가 넘고, 매일 평균 1800만뷰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한다. 가히 BTS 천하다.

도대체 인기의 비결이 무엇일까? 흔히들 골수팬층인 ‘아미’의 존재를 언급하곤 하는데, 그렇다면 그 ‘아미’는 어떻게 만들어지게 된 걸까 궁금해졌다. 이들의 노래와 비디오를 찾아 듣고 보기 시작했다. K팝의 상징이 된 칼군무, 그들의 뮤직비디오는 음악을 볼 수 있게 만들었다. 흥겹다. 생김도 미남들이다. 하지만 이런 건 다른 K팝 아이돌그룹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 뭐가 다른 걸까? 잠정적인 결론은 이들은 자기 얘기를 진솔하게 한다는 점 아닐까 싶다.

이들은 데뷔 초부터 네 꿈은 뭐냐고 묻고, 누가 뭐라 해도 난 나를 사랑하며 내 꿈을 열심히 좇을 것이며, 고통이 다시 찾아와도 기꺼이 극복해 주겠다고 노래해 오고 있다. 이렇게 유명해질 줄 몰라서 두렵고 떨리지만 감당해낼 거라고도 얘기한다. 팬들은 이들의 칼군무 연습 비디오를 보며 완벽한 퍼포먼스를 위해 이들이 흘리는 피와 땀과 눈물을 함께하고, 멤버 간의 일상과 무대 뒤 모습을 보며 이들의 사랑과 우정, 가족 같은 감정을 공유한다. 그러면서 자신들도 영감을 받는다. 각자의 꿈을 좇아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그 긍정적인 에너지를 다른 이들에게 기꺼이 전파하는 ‘아미’가 된다. 수평적 의사소통을 통한 선한 영향력이 또 다른 선한 영향력을 낳는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이들의 성공은 다른 나라 사람들도 좋아할 만한 보편적 감성 코드가 무엇인지를 고민해 거기에 맞추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그저 자신들이 느끼고 고민하는 바를 진솔하게 표현해왔기 때문에 동시대 젊은이들에게 오히려 더 강한 공감과 호소력을 가졌던 것 같다. 그러고 보면 우리는 인종, 국적, 성별, 나이 등 무수히 많은 구분짓기와 차별들에 갇혀 산다. 하지만 그 표피적 차이를 살짝 뒤로하고 보면 나의 감성과 너의 감성이 크게 다르지 않고, 그 감성 영역엔 민족적인 것과 세계적인 것의 구분도 굳이 필요가 없다. 내가 곧 세계고, 세계가 곧 나다. 차이와 차별에 앞서 우리 모두는 서로 공유하는 것이 훨씬 더 많다.

K팝은 주로 미국의 대중음악을 모방하면서 성장했다. 랩과 힙합 장르는 더더욱 그렇다. 아류였던 것이다. 한국의 다른 분야들도 비슷하다. 선진국들의 제도와 문물을 빨리 수입·모방해서 추격한다는 모델이었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적 비교우위 평가에 늘 연연해왔다. 개인들도 마찬가지다. 사람의 능력과 재능을 비교해 서열화하는 데 익숙하다. 그러면서 잊고 산 건 나, 우리들 자신의 얘기다. 이젠 개인이나 사회나 남들의 평가에 연연해하지 않으며 저마다 자신들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게 사실 선도국가다.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