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주의 대 생태주의

안희곤 사월의책 대표

코로나19와 함께 어쩌면 세상은 변곡점을 넘어버렸는지도 모르겠다. 경제의 변곡점, 소비의 변곡점, 자본주의의 변곡점, 그리고 생태의 변곡점. 지인과 함께 길을 걷는데 상가의 점포들이 한 집 걸러 하나씩 문 닫은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한숨 섞인 소리로 지인이 말했다. “채소와 생선가게 같은 집 빼고 이제 공산품 파는 곳은 죄 망해가네요. 도대체 누가 인터넷을 만들었대요? 거기다가 코로나까지 한 방을 날렸으니….” 아침에 ‘알리익스프레스’라는 앱을 스마트폰에 깔고 거기 빠져서 한참 시간을 죽인 나로서는 가슴이 뜨끔했다. 중국의 거대 전자상거래기업 알리바바가 만든 이 플랫폼에는 세상의 거의 모든 물건이 엄청나게 싼 가격으로 올라와 있으니, 누군가의 말마따나 소비자의 ‘개미지옥’이요, ‘악마의 앱’이라 할 만했다.

안희곤 사월의책 대표

안희곤 사월의책 대표

플랫폼기업이 문제라고는 하지만 사실 이런 상황은 더 싸고 더 빠른 소비를 원하는 소비자들이 합세하지 않고서는 이뤄질 수 없는 일이다. 상품들의 개미지옥에 빠진 소비자를 업고 플랫폼은 생산자와 배송노동자의 출혈을 강요함으로써 거기서 중개수수료라는 막대한 불로소득을 취한다. 소비자들의 취향이라는 것도 사실은 인공지능과 첨단 추적시스템과 신속한 물류에 의해 조종된 결과이고, 깜짝 놀랄 만큼 싼 가격도 결국은 생산자와 노동자에게서 뽑아낸 이득일 뿐이다. 이 모든 것은 ‘가성비’를 꼼꼼히 따지는 소비자의 계산기 안에는 없는 항목들이다.

소비자의 올바른 행동양식을 생각하자니 랠프 네이더라는 이름이 떠오른다. 네이더는 1960년대 미국에서 <어떤 속도로도 안전하지 않다>는 책으로 자동차의 결함을 비롯한 수많은 생산품의 문제를 고발하고, 소비자 보호와 환경 문제에 일대 각성을 일으킨 인물로 유명하다. 그 덕분에 기업 환경과 법적 제도가 크게 개선된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그가 ‘네이더 돌격대’라는 소비자 행동주의까지 일으키며 한 일이란 게 삐거덕거리는 자본주의 기업시스템에 세련되고 안전한 ‘체제 안의 도덕’을 부여해준 것 말고 무엇이 있을까. 덕분에 기업들은 사회적 역할이라는 면죄부와 장기적 성장이라는 실리를 동시에 얻게 되었다.

대량생산이라는 산업적 이념을 넘어 이제는 안전과 효율의 후기산업사회 이념까지 동시에 성취한 듯 보이는 플랫폼기업의 기초에는 기술 자본주의가 있다. 소비자 취향과 구매패턴과 배송의 최적화된 계산은 낭비를 줄이고 ‘기술이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믿음을 실현시켜주는 것 같다. 기술은 이제 전기차, 수소차와 같은 신기술을 통해 우리의 환경 감수성까지 만족시켜준다. 이런 기술의 마력에 취한 소비자들에게는 거리의 매연이 화력과 원자력 발전소의 굴뚝으로 옮겨가고, 정유공장 자리에 중금속 폐배터리가 산처럼 쌓일 미래는 잘 보이지 않는다. 도로 건설과 구매 보조금으로 들어갈 막대한 세금도 신성장 동력의 이름으로 정당화된다.

이쯤에서 이반 일리치라는 이름을 다시 호명하지 않을 수 없다. 작고한 녹색평론 발행인 김종철 선생이 그 이름을 끊임없이 거론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일리치는 실제로 생태주의를 한 번도 거론한 적이 없다. 오히려 공해와 오염과 ‘살충제’를 말하는 환경운동가들을 비웃기까지 했다. 환경오염은 기업의 각성과 안전의 확보로 막을 수 있는 게 아니며, 자연을 낭비하지 않을 수 없게 하는 성장과 소비 체제에서 나온 부산물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체제로 인해 환경만 피폐해진 것이 아니라, 자연을 낭비하거나 타인의 삶을 낭비하지 않고는 살 수 없는 인간의 삶까지 피폐해졌다는 것이다. 여기까지 생각하다 보면 ‘쿠팡’과 ‘알리익스프레스’ 앱을 만지작거리고 전기차 가격을 검색하던 나의 손을 멈추지 않을 수가 없다. 거기서 파는 물건들은 내게 처음부터 필요했던 것이 절대 아니었다.


Today`s HOT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해리슨 튤립 축제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토네이도로 쑥대밭된 오클라호마 마을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페루 버스 계곡 아래로 추락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불타는 해리포터 성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