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직장인들만 크게 늘어난 세금, 당국은 형평성 생각해야

직장인들의 근로소득세수가 5년 만에 70% 가까이 늘어 같은 기간 국세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결산 기준 근로소득세수는 57조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 50조원을 돌파, 2017년(34조원)보다 68.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총국세와 자영업자 등에 부과되는 종합소득세는 각각 49.2%와 49.4% 증가했다. 종합소득세는 총국세와 유사한 수준으로 늘어난 반면 ‘유리지갑’이라 불리는 직장인들의 근로소득세는 국세 증가분보다도 더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소득이 있으면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 그러나 이는 공평 과세를 전제로 할 때 얘기다.

직장인들의 세 부담은 물가 급등기에 더욱 커진다. 고물가로 실질소득은 제자리인데 세금은 명목소득을 기준으로 부과하므로 그 자체로 세금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이른바 ‘소리 없는 증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도시 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실질 근로소득은 전년 대비 2.5% 감소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5.1%)은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았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2022년 실질 임금은 전년보다 줄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지난해 근로소득세는 전년보다 10조2000억원(21.6%)이나 더 걷혔다. 물가 상승은 재화 및 용역의 최종가격에 10%를 부과하는 부가가치세 세수도 크게 늘린다. 부가가치세는 대표적인 간접세로 서민층이 부유층보다 소득 대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내는 ‘역진세’에 해당한다. 고물가 영향으로 정부의 조세 정책이 소득 재분배를 가져오기는커녕 빈부 격차만 키우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부자 감세’ 정책으로 지난해 고가주택 소유자 및 다주택자들이 내는 종합부동산세를 전년보다 1조8000억원 줄여주었다.

정부는 지난해 세제 개편을 통해 6% 세율이 적용되는 과표 구간을 1400만원 이하로, 15% 세율 구간을 1400만∼5000만원 이하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이런 개편에도 올해 직장인들의 근로소득세는 작년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자영업자나 불로소득자 소득은 파악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이를 찾아내는 것이 국세청의 일이다. 직장인과 자영업자 간 과세 불공평은 세제와 세정에 국민 불신을 키우고 국가 재정을 약화시킨다. 정부는 공평성이라는 조세 정책의 기본 원칙부터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Today`s HOT
휴전 수용 소식에 박수 치는 로잔대 학생들 침수된 아레나 두 그레미우 경기장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해리슨 튤립 축제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