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밀 자급률 0.8%

도재기 논설위원
정부가 0.8%에 불과한 밀 자급률을 2025년까지 5%까지 끌어올리는 밀 산업 육성책을 26일 발표했다. 사진은 한국 토종 밀이 익어가는 모습이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정부가 0.8%에 불과한 밀 자급률을 2025년까지 5%까지 끌어올리는 밀 산업 육성책을 26일 발표했다. 사진은 한국 토종 밀이 익어가는 모습이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쌀밥 한 공기 반. 한국인의 1인당 하루 쌀 소비량(2020년 기준)이다. 한국인의 주식이라고 말하기 민망한 수준이다. 사실 쌀 소비량 급감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1985년 128㎏이던 연간 1인당 소비량은 2015년 62㎏, 2020년에는 57㎏까지 줄었다. 밥 한 공기가 100g 정도인데 1인당 하루 평균 쌀 소비량이 158g이다. 식습관의 서구화, 먹거리의 다양화 등에 따른 변화다.

그렇다면 무엇을 먹었을까. 육류와 밀이 대표적이다. 고기의 연간 1인당 소비량은 1970년 5.3㎏에서 2020년 54㎏으로 급증했다. 빵과 면, 과자의 주원료인 밀도 1인당 연간 소비량이 33㎏으로 꾸준한 증가세다. 그런데 밀의 자급률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2011년 1.9%에서 2020년에는 0.8%에 불과하다. 쌀·콩·옥수수와 함께 4대 곡물 중 가장 낮다. 국산 밀 급감으로 토종 밀 종자마저 사라질 위기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밀 자급률 향상을 위한 대책을 26일 내놓았다. 자급률을 2025년까지 5%로 끌어올리는 등 주요 식량 작물인 밀의 자급기반을 확충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밀 생산단지 확대, 품질 제고를 위한 품종 개발과 기술지원, 정부 비축물량 확대 등을 밝혔다. 밀 산업 진흥책은 반갑지만 한편으론 씁쓸하다. 시민사회계에서 국산 밀 산업의 중요성을 외친 게 30년 전이다. 자급률을 높이고 토종 밀 종자를 확보하자며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가 창립된 게 1991년이다. 그런데 이제 와서 진흥책을 내놓으니 뒷북 행정이 아닐 수 없다.

비단 밀뿐이 아니다.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45%에 불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저 수준이다. 특히 곡물자급률(사료 포함)은 겨우 21%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등 주요 국제기구들은 식량자급률 향상을 통한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식량 수출국가들은 걸핏하면 수출을 제한한다. 식량은 이미 무기화됐다. 주요 국가들이 식량 자급 및 안보 대책을 강구하는 이유다. 그런데 한국의 전체 예산 대비 농업예산은 겨우 2%대에 불과하다. 반도체나 자동차도 중요하다. 그렇지만 아침으로 반도체를, 점심으로 자동차를 먹을 수는 없다. 식량자급책을 심각하게 고심할 때다. 웃어넘길 일이 아니다.


Today`s HOT
북한의 위험지대 파주에서 보여지는 사람들 워싱턴으로 이송 준비하는 자이언트 판다 스페인 아메리카 컵 대회에서 항해하는 요트들 미국 육군 연례 박람회를 구경하는 사람들
낮은 주택 임대료 요구 시위를 벌이는 스페인 시민들 파리 모터쇼에 참석한 프랑스 대통령
방글라데시 두르가 푸자 축제를 기념하는 신도들 첫 공습받은 레바논 북부 마을
두르가 푸자 축제를 기념하는 방글라데시 신도들 스타십 우주선의 성공적 이륙,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다. 이탈리아에서 열린 배들의 경쟁 합동 군사 훈련 위한 대만 공군 미라지 전투기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