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블랙핑크 제니는 적용되고 리사는 안 되는 ‘이 법’?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블랙핑크 제니는 적용되고 리사는 안 되는 ‘이 법’?

입력 2022.07.30 07:18

오는 9월 25일부터 ‘예술인의 지위와 권리의 보장에 관한 법률’(예술인권리보장법)이 시행됩니다. 프리랜서로 일하는 경우가 많은 예술인의 취약한 지위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법입니다. 그런데 이 법, 아이돌 ‘블랙핑크’의 멤버 리사 같은 외국인 예술가도 적용받을 수 있을까요? ‘암호명3701’에서 살펴봤습니다.

필리핀 출신 가수 A씨는 한국에서 계약과 달리 턱없이 낮은 월급을 받았습니다. 원래 약속된 월급은 158만원이었지만, 실제로 A씨가 받은 금액은 40만원이었습니다. 한국 소속사와 월급 158만원, 주 1회 휴무를 조건으로 1일 2~3시간 노래 공연을 하기로 한 계약이 지켜지지 않은 겁니다. 실질적인 휴일도 월 1~2회에 그쳤습니다. A씨는 필리핀에서 2018년 E-6(예술흥행) 비자로 입국한 외국인 예술가입니다.

벨기에 출신 모델 B씨는 한국 촬영장에서 성추행과 성희롱을 당했습니다. 몇몇 사진작가는 포즈를 취한 B씨의 다리, 엉덩이 등 신체를 만졌습니다. 촬영 스태프에게 성희롱성 발언을 들은 경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 문제를 제기한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2017년부터 한국에 와 모델 일을 시작한 B씨는 모델 일을 더는 못 하게 될까 걱정했기 때문입니다.

예술인권리보장법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와 ‘예술계 성추행’ 등의 사건이 더는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하자는 취지로 지난해 9월 제정됐습니다. 이 법률에는 예술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고, 다른 직업과의 동등한 지위를 보장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성평등한 환경에서 작업할 권리도 포함됐습니다. 이 법은 적용 대상을 ‘국민’이라고 명시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법 적용 대상이 ‘국민’이라도 외국인 보호가 가능하다고 설명 했습니다. 윤성천 문체부 예술정책관은 지난 5월 공청회에서 “예술활동증명 등을 통해 외국 예술인 보호를 위한 별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것입니다.

그러나 외국 국적 예술인이 모인 ‘한국다양성예술가협회’(DAKA)는 지난 5월 기자회견을 열어 적용 대상 확대를 요구했습니다. 법안의 ‘국민’이라는 표현을 ‘외국인을 포함한 한국에서 활동하는 모든 예술가’라고 고쳐 써달라는 겁니다. DAKA는 “이주민 예술가들은 기존 체계 안에서 권리 보장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한국 문화에 영감을 받은 여러 나라의 예술가들이 한국으로 몰려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K-문화의 영향력이 커져가는 상황에서 한국을 찾는 예술가들의 보호가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될 필요가 있다는 뜻입니다.

블랙핑크 제니는 적용되고 리사는 안 되는 ‘이 법’?[암호명3701]

잔소리 대신 식탁에서 나누면 좋을 ‘1분 식톡’ 열한 번째 이야기.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이 영상은 숏폼 플랫폼 틱톡 채널 ‘암호명3701’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https://www.tiktok.com/@codename3701

  • AD
  • AD
  • AD

연재 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하시겠어요?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콘텐츠 서비스(연재, 이슈, 기자 신규 기사 알림 등)를 메일로 추천 및 안내 받을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레터 구독을 취소하시겠어요?

구독 취소하기
뉴스레터 수신 동의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안녕하세요.

연재 레터 등록을 위해 회원님의 이메일 주소 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주소입니다. 이메일 주소 변경은 마이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기
이메일 주소는 회원님 본인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신 경우,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일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뉴스레터 수신 동의
닫기

경향신문에서 제공하는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경우 [마이페이지 > 개인정보수정] 에서 언제든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 동의를 거부하실 경우 경향신문의 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지만 회원가입에는 지장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1이메일 인증
  • 2인증메일 발송

로 인증메일을 발송했습니다. 아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연재 레터 구독이 완료됩니다.

연재 레터 구독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