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의 ‘적정 국가부채’ 공방…실상은 전문가·기관마다 달라

안광호 기자

정책 절대 기준 삼기 어려워

이·윤의 ‘적정 국가부채’ 공방…실상은 전문가·기관마다 달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 21일 3차 TV토론에서 ‘적정 국가부채’ 규모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이 후보는 한국 국가부채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다며 적극적인 재정지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윤 후보는 한국이 비기축통화국인 점을 고려해 부채 비율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전문가들은 재정정책 기준을 단순히 부채비율로 볼 게 아니라 국채 금리 비용이나 국채 발행에 따른 경제성장률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22일 기획재정부 등을 취재한 것을 종합하면, 국가부채는 국채 등 국가와 지자체의 상환 의무가 있는 국가채무(D1), 국가채무와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를 합한 일반 정부부채(D2)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등은 주요국 국가부채를 집계할 때 D2를 기준으로 삼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한국의 부채비율은 45.4%(2020년 기준)다.

이 후보와 윤 후보가 논쟁을 펼친 국가부채는 국가채무비율을 의미한다. 기재부가 전망한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올해 50.1%(추경 기준)에서 2025년 58.5%로 증가한다. 이 후보는 “국가부채 비율은 다른 나라는 110%가 넘는데 우리나라는 50%가 안 된다.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축에 속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국가부채 비율이 50%에서 60%를 넘어가면 비기축통화국인 경우는 (재정 지출이나 운용이) 어렵다”고 말했다.

국내외 기관의 국가채무비율 전망치를 보면, 국회 예산정책처는 ‘2021년 중기재정전망’에서 2025년 한국 채무비율이 GDP의 60%에 근접하고, 2030년에는 80%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경제연구원이 IMF 국가재정 모니터(2021년 10월 기준)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 채무비율이 2020년 47.9%에서 2026년 66.7%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적정 국가채무에 대한 의견은 기관과 전문가마다 다르다. IMF는 지난해 3월 “정부부채의 취약성을 알리는 지표가 선진국의 경우 GDP의 85%, 신흥국의 경우 60%”라고 언급했다.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국가부채 비율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재정정책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는 것은 옳지 않다”며 “국채 금리 비용이나 국채 발행에 따른 경제성장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Today`s HOT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호주 시드니 대학교 이-팔 맞불 시위 갱단 무법천지 아이티, 집 떠나는 주민들 폭우로 주민 대피령 내려진 텍사스주
불타는 해리포터 성 해리슨 튤립 축제
체감 50도, 필리핀 덮친 폭염 올림픽 앞둔 프랑스 노동절 시위
인도 카사라, 마른땅 위 우물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노동자의 날 집회 경찰과 충돌한 이스탄불 노동절 집회 시위대 케냐 유명 사파리 관광지 폭우로 침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