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北자극 할라’ 입조심… 中은 “들은바 없다”

美, 공식적 침묵… 외교정보 기본 충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 이상을 둘러싼 미국의 입장은 무엇일까.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을 비롯해 미 행정부 및 미 정보기관들은 11일(현지시간) 공식적으로는 침묵을 지키면서도 익명의 ‘정보 관계자’를 통해 ‘뇌졸중 중병설’을 퍼뜨리는 이중적인 대응을 보이고 있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위원장의 건강이 실제로 심각한 상태라면 한·미간 군사적인 대비는 물론, 북핵 6자회담의 이상기류에 대비해야 한다. 외교가 소식통들은 “한·미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정보교류를 하고 있지만 뚜렷이 잡히는 게 없다”고 실토했다.

이 때문에 정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번 사안을 복기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김정일 건강 이상’ 정보는 한국 측의 ‘휴민트(인적정보)’에 의해 미국 측에 전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측이 특히 주목한 부분은 “김정일이 쓰러졌다(collapsed)”는 8월20일쯤의 중국발 정보였다는 전언이다.

문제는 상황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뇌졸중’이라는 구체적인 병명이 ‘익명의 미 정보관계자’와 ‘서방 정보관계자’의 입을 통해 거론됐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 미측이 의도적으로 ‘김정일 중병설’을 퍼뜨렸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미 행정부가 정치적 목적에서 미국 주요 언론을 상대로 은밀히 정보를 흘려온 관행을 감안하면 설득력이 전혀 없는 분석은 아니다.

미측의 공식적인 침묵은 설명이 쉬운 대목이다. 6자회담을 통한 대화의 파트너를 자극할 수 있는 지도자 건강 문제를 거론하지 않으려는 고려가 읽힌다. 정보 평가를 숨기는 정보관리의 교과서적인 대응이었다는 설명도 가능하다.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오히려 한국 측이 당·정은 물론 국정원장까지 가세해 실명으로 김 위원장의 불투명한 건강상황에 대해 언급하고 나선 데 대해 고개를 갸웃거리는 분위기다.

한·미 양국의 공식 대응만 보면 미측은 외교적 상례와 정보관리의 기본에 충실한 반면 한국은 상세한 정보는 물론 미완성 정보분석 내용까지 전한 셈이다.

<워싱턴 | 김진호특파원>

中, 공식매체 ‘金 기념식 불참’ 보도만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와병설이 증폭된 지난 9일 이후 중국 당국의 공식 입장은 ‘들은 바 없다’이다. 12일까지 관영 신화통신 등 공식 매체는 김 위원장의 건강 문제에 대해 일절 보도하지 않았다.

중국 언론이 김 위원장의 동정을 언급한 것은 신화통신이 지난 9일 북한 정권수립 60주년에 “조선 최고지도자 김정일은 출석하지 않았다”고 보도한 게 전부다. 다만 홍콩의 언론과 인터넷 포털 등이 한국과 미국 매체를 인용, 김 위원장의 와병설을 보도하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세계 언론이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김 위원장의 동정을 지근거리에 있는 중국이 코멘트를 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는 형국이다.

중국의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일찍부터 김정일의 중병설을 인지했으리라는 게 중론이다.

한 외교소식통은 “중국이 의료진까지 파견한 마당에 관련된 정황을 모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다만 북한의 상황을 고려해 침묵하고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오랫동안 유지해온 긴밀한 관계를 고려해 북한이 원치 않는 일을 차마 발설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로서 북한에서 가시적인 움직임이 있지 않는 한 중국 정부가 나서서 김 위원장의 동태 등 북한 정세를 얘기하지 않을 것은 분명하다.

다만 중국으로서도 뒷짐만 지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외교가의 관측이다. 김 위원장의 건강이 회복 단계에 있어 당장 권력 누수 현상은 보이지 않겠지만 김 위원장의 ‘유고’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이후’를 준비하고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현재 중국의 입장은 우방국 북한의 처지를 최대한 배려하면서 ‘북한 붕괴’를 포함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베이징 | 조운찬특파원 sidol@kyunghyang.com>

日, 자체정보 안 내놓고 “주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병설에 대해 매우 신중하게 대처하고 있다.

언론에 첫 보도된 지난 10일부터 이 사안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구체적인 정보 확인을 위해 한국과 미국, 중국 등 주변국과 긴밀히 연락을 취하면서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이와 관련해 자체 정보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다만, 일본 정부는 정보를 종합해 볼 때 김 위원장의 신변에 이상이 생긴 것이 분명하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납치 문제 재조사, 북·일 관계 개선 등 최근까지 북한과 논의한 사안들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대해 다각적인 분석을 하고 있다. 일본이 정보를 갖고 있다 해도 북한의 입장을 고려해 공개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고무라 마사히코 외상은 12일 오전 각의 후 기자회견서 “지대한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다”며 “핵 문제와 납치 문제를 포함해 북·일관계 진전에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대응책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심의 초점은 김 위원장의 부재가 장기화할 경우 북·일 관계에 미칠 영향이다. 외무성의 한 간부는 “중병설이 사실이라면 납치 문제 등 중요한 의사결정을 요구하는 사안의 행방에 영향이 미칠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납치 문제 등에서 기존 대응 방침이 바꿀 수도 있고, 북·일 관계가 급박하게 전개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도쿄 | 조홍민특파원 >


Today`s HOT
보랏빛 꽃향기~ 일본 등나무 축제 연방대법원 앞 트럼프 비난 시위 러시아 전승기념일 리허설 행진 친팔레스타인 시위 하는 에모리대 학생들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뉴올리언스 재즈 페스티벌 개막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