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합의

홍혜은 저술가·기획자

밤늦게까지 일하고 집에 가는 길목에서 익숙한 소리가 들렸다. 생후 6주 된 고양이가 난감해서 우는 소리. 발길을 멈추고 들어보니 건물 담장 뒤쪽이었다. 고양이는 쉬지 않고 빼옥빼옥 했다. 사람들은 흘금 보고 무심히 지나갔다. 까치발을 들어도 잘 안 보였다. 어쩌지. 몰라몰라. 야근러는 피곤하다. 세 걸음 정도 집으로 향하다가 다시 뒤돌았다. 쟤도 ‘걔’처럼 그럴 수도 있으니까….

이건 다 걔 때문이다. 여기서 ‘걔’란 고양이 ‘도레레’로, 생후 6주에 우리집에 왔다. 도레레는 지하주차장에 버려진 오토바이 안에서 꾀죄죄하고 아픈 몰골로 꺼내졌다. 그냥 두면 걔가 죽을까 봐 임시보호라도 하려고 데려왔다. 도레레가 온 첫날 식구는 헙, 하고 작은 소리로 말했다. 얘는 너무 작아서 멀리 떨어뜨려 놓고 자야겠다….

우리집엔 생후 1년6개월 된 고양이 ‘한여름’도 있다. 걔는 틈으로 간식이 들어가도 인간에게 부탁하지 않는다. 혼자 계속 앞발을 휘저으면 결국 내가 간다. 나는 막대기를 쓰며 말한다. 너는 엄지손가락이 없지. 걔랑 살며 나한텐 별 거 아니어도 고양이에겐 세상 장벽인 것이 많이 있다는 걸 알아갔다. 나는 6주 된 고양이보다 80배쯤 크고 엄지손가락도 있다는 사실을 떠올리며 가 보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담장 너머를 들여다보니 나뭇가지와 쓰레기가 너무 많아 헛발을 디딜 것 같았다. 전에 크게 넘어져 지하철을 타고 응급실에 갔다. 그 말을 듣고 누가 알려 줬다. 그럴 땐 119를 부르라고. 그땐 어쨌든 내 발로 지하철을 탈 수 있었다. 이럴 때야말로 누가 도와주면 좋을 텐데…. 되려나? 인터넷에 검색해 보았다가 알게 됐다. 고양이에 대해선 119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는 것과 더 나아가 길고양이를 돕지 말고, 다 죽이자고 하는 사람이 아주 많다는 사실을.

한 사람의 세계는 태도에 따라 완전히 달라진다. 몇 마리 고양이를 돕다가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는 세계가 있다. 어떤 사람의 트렁크에는 늘 담요가 있다. 차에 치여 죽은 고양이를 보면 수습하려고. 이렇게 살다 보면 도시에 동물들이 나타난 게 아니라, 인간이 도시를 만드는 내내 동물들이 있었단 걸 알게 된다. 그 세계 밖에 있는 사람들은 뚝 떨어진 고양이에 대해 말한다. 저 세계에선 도시에서 고양이와 어떻게 지낼지 ‘합의’해 가는 중인데, 자기가 문제라고 여기는 걸 빨리, 완벽하게 해결하라고 ‘요구’ 한다. 그렇게 고양이를 죽여 없애자고 말하게 되는 것이다.

소수자 문제에 대해 말할 수 없는 순간이 있다. 상대가 “내 주변엔 그런 사람 없다”고 할 때.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고들 한다. 합의는 논쟁이다. 그러나 그건 적어도 내 친구가 ‘그런 사람’이고 저 사람의 친구도 ‘그런 사람’일 때나 가능한 것이다. 친구란, 그의 곤란함이 나의 곤란함이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다. 사회의 핵심은 연결됨이다. 한국은 비용을 발생시키는 존재를 죄악시한다. 약한 것은 다 끊어낸다. 이런 정서가 ‘캣맘’을 때리거나 길고양이 밥그릇을 엎어버리는 어린이를 만들어냈다. 연결감이 없는 사람은 사회에 살면서 사회에 살지 않는 것처럼 행동한다. 그런 걸 반사회적이라고 한다. 사회는 인간, 그리고 인간과 연결된 여러 존재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합의할 필요는 없다.

홍혜은 저술가·기획자

홍혜은 저술가·기획자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