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 권력을 결정한다

안재원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
[안재원의 말의 힘]말이 권력을 결정한다

말과 권력의 관계를 꿰뚫어 본 정치가가 키케로다. 단적으로, ‘이상적 연설가(orator perfectus)’를 이상적인 정치가로 내세우기 때문이다. 그의 말이다.

“내가 찾고 있는 사람은 법정에서 같은 소리만 맴맴 대는 어떤 자도 아니네. 목청만 돋우는 자도 아니네. 돈만 챙기는 삼류 변호사도 아니네. 내가 진실로 이런 사람을 찾고 있네. (…) 헤르메스의 지팡이가 아니라 연설가라는 이름을 ‘갑옷과 방패’로 삼아 자신을 지키면서 적들이 던지는 창과 화살 사이를 유유히 누빌 수 있는 사람이네. ‘말’이라는 창으로 사악한 자의 기만과 범죄를 만천하에 드러내어 시민들이 증오하고 그들을 단죄하게 만드는 사람이네. 자신에게 주어진 ‘지성’을 방패로 삼아서 무구한 사람을 재판에서 지켜줄 수 있는 사람이네. 삶의 무기력에 좌절하고 갈팡질팡 방황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정신을 차리게 하고 원래 있어야 할 자리와 본래 가야 할 길로 가도록 만들 줄 아는 사람이네. 간악한 무리에게는 분노의 불길을 타오르게 하고, 선량한 사람에게 타오른 분노는 부드럽게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이네. 살아가면서 부딪히고 밀려오는 온갖 사건들이 사람들의 마음을 어디로 이끌든지, 그들의 마음을 고양시키고 싶으면 고양시키고, 부드럽게 가라앉히고 싶으면 가라앉힐 줄 아는 사람이네.”(<연설가에 대하여> 1권 202장)

소위 ‘말 잘하는 사람’을 키케로는 전면으로 내세운다. 이는 말의 힘보다는 지성의 힘을 강조했던 플라톤의 생각과는 크게 다르다. 플라톤은 철인왕을 이상적인 정치가로 보았기 때문이다. 키케로가 이렇게 자신이 추종했던 플라톤과 다른 입장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간단하다. 권력이 말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설득을 통해 표를 많이 얻는 선거로 권력이 결정되는 민주주의에서는 말이 권력을 결정하기에 그렇다. 서양의 지성사에서 주로는 철학과 신학, 가끔은 정치학과 자연학의 숱한 비판과 공격에도 수사학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도 실은 말이 가진 이와 같은 정치·사회적인 기능 덕분이다.


Today`s HOT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UCLA 캠퍼스 쓰레기 치우는 인부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침수된 아레나 두 그레미우 경기장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휴전 수용 소식에 박수 치는 로잔대 학생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폭격 맞은 라파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