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희 과학저술가
[하리하라의 사이언스 인사이드] 아는 것과 이해하는 것

몇해 전부터 물리학자들과의 만남이 잦아지고 있다. 계기는 포항공대 내에 위치한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의 과학문화위원회 일을 맡게 되면서였다. 물론 그곳에서 내가 맡은 바는 물리학적 지식과는 크게 상관이 없는 대중과학 및 과학 커뮤니케이션 분야 일이지만, 아무래도 이전에 비해 물리학자들과의 접촉 빈도가 크게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개인적으로 물리학과의 직접적 인연은 대학교 때 들었던 일반물리학이 마지막이었기 때문에, 새롭게 접한 물리학자들의 세계는 낯설고도 신선했다. 그러다보니 이토록 쟁쟁한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혼자만 물리학 문외한으로 있는 것도 멋쩍어서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던 물리학자들의 저서를 들춰보기 시작했다. 그러고는 곧 깨달았다. 왜 한창 과학자의 꿈을 키우던 학창 시절, 유독 물리학과는 친해지지 못했는지 말이다.

한마디로 물리학은 도무지 이해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특히나 양자물리는 모순투성이처럼 느껴졌다. 양자물리에 대한 가장 대중적인 예시로 알려진 ‘슈뢰딩거의 고양이’조차도 말이다. 상자 속 고양이의 생사를 겉에서만 봐선 대번에 알기는 어렵다. 애초에 상자란 내부가 차단된 공간이니까. 하지만 그 ‘알 수 없음’의 이유가 단지 감춰져 있어서가 아니라, 처음부터 고양이가 삶과 죽음의 중첩 상태에 놓여 있어 결정될 수가 없다는 사실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게다가 생사는 내가 상자를 여는 순간까지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도. 물론 ‘슈뢰딩거의 고양이’ 예시는 일종의 사고 실험이며, 양자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현실의 거시 세계에서는 일어날 수 없다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사실이었다. 이렇게 이해할 수 없는데, 이것을 계속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때 우연히 만난 한 권의 책이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저자는 “양자물리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자신 있게 말한다. 그러나 바로 다음 순간, 이해할 수 없다고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며 이해할 수 없다고 알지 못하는 건 아니라고 말한다. 인간은 이해할 수 없는 대상을 쉽게 받아들이고 알아내는 존재다. 생각해보니 그렇다. 아이들은 처음부터 언어의 구조와 문법을 이해하고 말을 배우는 것이 아니다. 그저 주변 사람들이 하는 말을 듣고 외워서 따라 할 뿐이다. 하지만 단어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가 부족해도, 아이는 말을 배울 수 있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 저자는 ‘이해를 못해도 아는 것은 가능하며, 때로는 그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고 말한다.

생각해보니 자연에서 양자가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상태로만 존재해야 할 필요성도 없다. 이미 양자는 그런 상태로 존재하는 것일 뿐이다. 그러니 우리가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해야 할 일은 양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를 제대로 아는 것이다. 이해할 수 없음을 인정하니 양자물리에서 이야기하는 개념이 좀 더 수월하게 읽혔다.

세상에는 도저히 나의 상식과 신념과 가치관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차고 넘친다. 마음을 한껏 열고 이들을 이해하려 노력하지만,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이때 우리는 그 대상에 이해불가라는 딱지를 붙여서 이들을 눈앞에서 보이지 않는 곳으로 치워버리곤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사라지진 않기에 자주 눈에 거슬리고, 이 불편함은 혐오를 넘어 종종 심각한 충돌로 이어지기도 한다. 첫아이가 사춘기에 들어섰을 때,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아이를 이해하려 노력했었다. 하지만 그 결과는 그다지 좋지 않았다. 아무리 노력해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고, 실망이 쌓이면서 관계는 파국으로 이어지는 듯싶었다. 이해하려는 노력이 커질수록 상처도 커졌다. 관계가 좋아진 건 오히려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길 포기한 이후였다. 지금 아이가 과도기를 지나고 있음을 인정한 뒤 아이가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하고 싶은 것을 파악하려 다가가려고 시도한 이후에 말이다.

때로는 이해가 안 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보다, 양자물리를 대할 때처럼 그저 인정하고 알아가려 시도하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 이해하려는 부담감이 덜어지면, 오히려 새로운 돌파구가 보일 때도 있는 법이니까.

이은희 과학저술가

이은희 과학저술가


Today`s HOT
올림픽 성화 도착에 환호하는 군중들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이스라엘공관 앞 친팔시위 축하하는 북마케도니아 우파 야당 지지자들
파리 올림픽 보라색 트랙 첫 선! 영양실조에 걸리는 아이티 아이들
폭격 맞은 라파 골란고원에서 훈련하는 이스라엘 예비군들
바다사자가 점령한 샌프란만 브라질 홍수, 대피하는 주민들 토네이도로 파손된 페덱스 시설 디엔비엔푸 전투 70주년 기념식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