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꿈은 1.5룸

최서윤 작가

옷장을 새로 들였다. 폭 80㎝, 높이 186㎝. 메이플 색상, 한쪽 문은 전면 거울. 거울이 화룡점정이다. 5.4평 원룸의 가장 깊은 부분을 관통해 맞은편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살을 반사하여 공간을 더욱 환하게 만든다. 실제보다 넓어 보이는 착시효과도 준다. 이 옷장을 고른 스스로가 기특했다. 새 옷장은 삶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감각과 함께 일종의 성취감마저 줬다. 그래, 이건 분명 행복에 가까운 감정이다. 옷장 하나로 행복해지는 나, 비정상인가요?

최서윤 작가

최서윤 작가

이 지면을 통해 ‘5평 주택 논쟁’을 소개한 적 있다. 2019년이었다. 어떤 트위터 이용자가 역세권 청년임대주택으로 제공되는 대부분이 5평 내외 원룸이라며 “청년주택에서 행복을 꿈꿀 수 있을까?”라는 자문과 “누구든 좁고 작은 방에 사는 게 괜찮을 리 없다”는 자답을 남겼다. 해당 트윗은 논쟁을 일으켰고, 5.4평 거주자로서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정작 본인은 괜찮은데, 타인에 의해 ‘괜찮지 않은’ 존재로 규정당하는 게 지긋지긋했다. 좁고 작은 방에 실제 살고 있는 사람이 그 말을 들으면 상처받을 수 있으며, 좁아도 다른 조건이 충족되면 기쁨과 만족을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을 썼다. 행복을 느끼고 있는 나를 보니 그때 내가 틀리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그때보다 바라는 게 많아지긴 했다. ‘거리 두기’ 영향도 있다. 영화관이나 극장에 자주 가지 못하고 집에 머물다 보니 대형TV, 비디오게임 콘솔, 소파가 간절해졌다. 자주 집에서 식사하다 보니 식탁 없이 책상만 있는 게 아쉽기도 했다. 아무래도 돈을 모아 다음에는 9평 1.5룸으로 이사 가야겠다. 5년 정도 모으면 가능할까?

그래도 지금 공간, 여전히 사랑한다. 처음으로 주거안정성을 느끼게 해준 곳이다. 나는 이 원룸을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로 매입했다. 인생의 가장 큰 공포를 소거한 덕에(청소년 때부터 홈리스 되는 게 두려웠다) 현재의 행복을 놓치지 않으며 ‘다음’을 꿈꾸게 됐다고 생각한다.

TMI였나? 한국 사회 분위기 때문에 말해봤다. 자기 기준에 맞지 않는 삶을 사는 타인은 불행할 거라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그 기준은 심지어 획일적이다. 예를 들어 서울의 아파트만이 집이라는 기준. 그 외 주택에 대해서는 “어떻게 그런 데 살아?”라고 묻고 ‘빌라 거지’라는 딱지를 붙이는 이들. 그러나 30~40대에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는 계층은 상위 10%이며, 많은 경우 증여나 상속의 도움을 받는다. 왜 이들의 기준이 사회 전체를 장악해야 하지?

본질을 따져보자. 2019년 주거실태조사에서 주택을 보유하고자 하는 이유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주거 안정(89.7%)’이다. 각자 사정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주거 안정을 획득하면 되는 것 아닌가? 세심한 정책으로 이를 돕고, 개인은 남들 시선 신경 쓰지 않고 무엇이 중요한지 스스로에게 물어 가용 자원 내에 최선을 택하는 것. 그리고 그 상태는 고정 불변이 아니며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것. 그 믿음을 사회가 줘야 한다. 다양한 삶이 ‘불쌍 프레임’ 아닌 방식으로 노출되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며 이 글을 썼다. 누군가는 불쌍하게 보는 주거 형태이지만 사실 나는 제법 행복하다. 1.5룸에 살면 더 행복해질지도? 더 행복해질 일이 남아서 행복하다!


Today`s HOT
보랏빛 꽃향기~ 일본 등나무 축제 연방대법원 앞 트럼프 비난 시위 러시아 전승기념일 리허설 행진 친팔레스타인 시위 하는 에모리대 학생들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뉴올리언스 재즈 페스티벌 개막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파리 뇌 연구소 앞 동물실험 반대 시위
최정, 통산 468호 홈런 신기록! 케냐 나이로비 폭우로 홍수 기마경찰과 대치한 택사스대 학생들 앤잭데이 행진하는 호주 노병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